[뉴스토마토 김혜실기자] "퇴직연금을 DB형으로 하시겠습니까, 혹은 DC형으로 하시겠습니까"
직장인이라면 한번쯤 들어봤을 질문이다. 내 퇴직금을 어떻게 하는 게 좋을지 반문하는 대다수를 위해 퇴직연금의 기본부터 살펴보자.
기존의 퇴직연금제도는 기업들이 근로자의 퇴직금을 사내에 유보하거나 퇴직보험과 퇴직 일시금 신탁 형태로 사외에 적립할 수 있도록 했다.
대부분의 기업들은 사외적립보다는 사내적립을 선택했는데,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퇴직금의 미적립채무가 급증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또 직장인들이 다니던 회사가 도산해 퇴직금을 받지 못하는 사례들이 빈번하게 일어났다.
이러한 부작용을 차단하기 위해 최근 새로운 퇴직연금제도가 도입되고 있다.
새롭게 선보인 퇴직연금제도의 경우 기업이 퇴직급여를 자산운용사, 은행, 보험사 등 전문기관에 적립해 그 운용 수익으로 퇴직금을 지급한다.
또 연금으로 지급받을 수도 있어 노후 소득보장 기능을 강화하고 있다.
이처럼 퇴직연금제도란 기업이 근로자의 퇴직금이 안정적인 노후자금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근로자의 퇴직금 지급 재원을 외부 금융기관에 적립해 운용하하고, 근로자가 퇴직한 후 일정연령이 되면 연금 또는 일시금으로 지급하는 기업복지제도라 할 수 있다.
퇴직연금제도는 확정급여(DB)형과 확정기여(DC)형으로 나눌 수 있다.
DB형은 근로자가 받을 퇴직급여수준이 사전에 결정돼 있는 제도로 기존 퇴직금제도와 큰 차이가 없다.
기업은 산출된 부담금을 매년 정기적으로 납입해야 하는데 그중 60% 이상은 사외에 적립하도록 의무화된 것이 기존 제도와의 차이다.
때문에 기업이 파산하더라도 사외에 적립하도록 의무화되어 있는 비율인 60%까지는 보호받을 수 있다.
DC형은 기업이 내는 부담금이 사전에 확정되어 있고 펀드의 운용결과에 따라 연금이 달라지는 제도다.
회사는 매년 근로자 연봉의 12분의 1 이상을 금융기관으로 입금하고, 퇴직연금사업자는 납입된 퇴직급여로 근로자의 투자의사에 따라 특정 상품에 투자한다. 투자 결과에 따라 근로자들은 손익을 부담하게 된다.
퇴직금을 안전하게 보장받고 싶다는 심리상 우리나라 근로자들은 여전히 많은 비중이 DB형을 선호하고 있다. 지난해말 기준 총 퇴직연금 85조원 중 DB형이 72%에 달했다. 미국의 경우 DC형 비중이 63%인 것과 대조되는 모습이다.
실제 미국과 일본 등 일부 선진국에서 DC형으로 퇴직금을 적극적으로 운용하는 직장인이 늘고 있다고 한다. DB형에서 기업이 파산할 수 있는 리스크와 DC형에서 손실이 날 수 있는 리스크 중 DC를 선택하는 비중이 늘고 있다는 것.
퇴직연금은 장기적으로 운용되기 때문에 충분히 플러스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어 추가 이익을 취하기 쉽다는 점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제 우리도 연금도 재테크가 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하고 나에게 맞는 연금을 적극적으로 선택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