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플랜트 고부가 창출, 기자재 국산화 필수"

입력 : 2014-07-20 오전 11:00:00
[뉴스토마토 최승근기자] 조선업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는 해양플랜트 분야에서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기자재 국산화율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우리나라는 전 세계에서 발주하는 해양플랜트의 60% 이상을 수주하고 있지만 기자재 국산화율이 상대적으로 낮고 기본설계 등 설계 노하우가 충분하지 않아 수입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때문에 고가인 해양플랜트를 수주하더라도 충분한 부가가치를 창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조선업 불황기에 저가로 수주한 해양플랜트가 부메랑이 돼 실적 악화의 주범으로 작용하고 있다.
 
지난 18일 한국은행 경남본부가 발표한 ‘경남지역 조선해양산업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1년 6월부터 올 5월까지 우리나라의 해양플랜트 수주규모는 세계 해양플랜트 수주액의 63.4%를 차지했다.
 
이는 2위인 싱가포르(13.3%), 3위인 일본(12.3%)에 비해 압도적인 수준이다. 이중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FPSO)는 71%로 비중이 가장 높았고, LNG-FPSO 68%, 드릴십 63%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우리나라 조선사들은 고가인 해양플랜트를 수주하더라도 미약한 산업연관관계로 인해 충분한 부가가치를 창출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발주자의 요구에 따라 맞춤형 주문생산을 하는 해양플랜트의 특성상 설계, 엔지니어링 등 서비스 부문의 부가가치가 높으나 국내 업체는 선진국에 비해 관련 기술 및 경험이 부족해 프로젝트를 수주하고도 외국으로 빠져나가는 비용이 많기 때문이다.
 
기본 설계와 상세 설계 등 설계 부문의 경우 EU, 일본에 뒤처지고 있고, 시공관리 부문에서도 경쟁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알려졌다.
 
(자료=한국은행 경남본부)
 
또 해양플랜트 기자재의 경우에도 국산화율이 평균 20% 수준이어서 수입 의존도가 높은 상황이다.
 
예를 들어 20억달러 규모의 FPSO 1척을 수주했을 경우 설계용역비로 1억달러를 유럽 기술진 등에 지급하고 건조에 필요한 2000여종의 기가재를 수입에 의존해야 하는 형편이다.
 
이 때문에 정부에서도 해양플랜트 연관 산업의 집중 육성에 나서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11월 해양플랜트 산업에 민·관 공동으로 향후 5년간 9000억원을 투입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를 통해 기자재를 국산화하고 해외 기업들의 해양플랜트 투자도 적극 유치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해양플랜트 연구 개발에 절실한 '심해해양공학수조'를 부산 생곡지구에 최고 수준으로 건설한다.
 
또 중소기업 참여를 위해 기자재 국산화 협의회를 구성해 대기업 등과의 기술 개발, 합작투자 등을 유도하는 한편 글로벌 오일 메이저에 밴더 등록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최승근 기자
최승근기자의 다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