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류석기자] 유심(USIM)에 공인인증서를 보관해 보안성을 강화한 '스마트인증'서비스가 사용자들 사이에서 냉담한 반응을 얻고 있다.
스마트인증은 스마트폰의 유심칩에 공인인증서를 저장하고 전자서명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다. 스마트폰 내부 데이터에 공인인증서가 저장되는 일반적인 방식과는 달리 유심에 인증서를 저장함으로써 외부 복제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도 유심 기반 인증 방식을 보안 1등급 매체로 지정한 바 있을 정도로 높은 보안성을 인정받았다.
이처럼 스마트인증 서비스의 보안성이 탁월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들이 외면하는 이유는 크게 3가지가 꼽힌다. ▲사용자들의 인식 부족 ▲은행들의 참여 부족 ▲낮은 편의성 등이다.
먼저 사용자들이 아직 스마트인증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는 점이 서비스 확산에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스마트인증은 이통사들에서 제공하는 수십가지의 부가서비스 중 하나일 뿐이다. 이 때문에 보안에 대해 큰 경각심을 갖고 있지 않은 사용자라면 스마트인증에 관심을 보이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또 공인인증서 존폐논란이 커져가고 있는 가운데, 공인인증서가 이미 없어졌다고 생각해, 서비스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사용자가 많은 것도 한 이유다. 하지만, 현재 간편결제로 대체되고 있는 전자결제 서비스 외에 증권, 은행 등 금융서비스를 이용할 때에는 여전히 공인인증서는 다방면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와 함께 아직까지 스마트인증을 지원하는 은행이 많이 없다는 것도 문제다. 은행과 공동 시스템 구축해야 앱-to-앱 방식으로 스마트폰 안에서 간편하게 전자서명을 수행할 수 있지만, 현재는 특정은행이 아니면 PC-to-앱 방식을 사용해야하는 번거러움이 있다.
업계에서는 빠른 시간안에 국내 전 금융회사들이 스마트인증 서비스를 도입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아울러 일부 사용자들 사이에서는 "스마트인증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방식이 너무 복잡하고, 느리다"라는 불만도 나오고 있다. 아직까지 서비스의 기술적 완성도가 부족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다.
이외에도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 스마트폰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 월 사용료 900원의 유료서비스라는 점 등이 사용자 확산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고자 업계에서는 다양한 노력을 펼치고 있다. 최근 이통사와 보안업계는 사용자들에게 스마트인증을 알리기 위한 '스마트인증 공동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또 서비스를 개발한 보압업체에서는 서비스 성능을 안정화시키고, 사용성을 개선에 더욱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스마트인증.(사진제공=라온시큐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