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전자상가의 오래된 시설 사이로 사람이 지나가고 있다.(사진=뉴스토마토)
용산 전자상가가 쇠퇴한 배경에는 정부 정책이 매번 흐지부지된 탓도 있다. 서울시와 용산구청은 상가 위기에 대응해 수차례 활성화 대책을 내놨지만, 제대로 시행한 것이 없다고 상인들은 성토하고 있다.
용산구청은 지난 2004년 '용산전자상가 발전 10개년 계획'이라는 거창한 목표를 제시했으나 대부분 실행에 옮겨기지 않아 계획은 방대한 문서로만 남아 있다. 이는 나진상가 일부 건문을 개발해 용산 전자상가의 랜드마크로 만드는 등의 지원으로, 상가 전체 매출액을 기존 6조원에서 10조원으로 확대하려는 청사진만 제시하고 끝났다.
지난 2010년에도 '용산전자상가 활성화' 계획을 세워 상가를 통합한 온라인 쇼핑몰을 구축키로 했으나, 계획에 그쳤다.
최근 추진되고 있는 '용산전자상가 IT산업지원센터 조성' 사업의 경우 시작 시점이 지난해 7월부터지만, 운영 추진단은 올 3분기에서야 꾸려질 예정이다. 상가 측이 개선을 지속 요구해 지난 4월까지 끝내기로 한 신용산 지하보도 보수작업은 첫 삽도 뜨지 못하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해부터 민간 업체에 용역을 맡겨 상가 관련 각종 지표를 분석하는 등 활성화 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나, 용산 전자상가의 실태를 파악하는 데만 1년이 흐를 전망이다.
그간 상가들은 지난 1987년 지정된 '전자기기 유통업무설비구역'을 해제해 유동인구를 확대할 수 있게 해달라고 요구해 왔다. 상가에 다른 오프라인 매장이나 온라인 시장과 경쟁할 수 있는 부대시설이 한없이 부족하다는 이유에서다.
상가가 규제 완화를 외치면서도 시장 변화에는 안일하게 대응해 위기를 키웠다는 지적도 있다.
국토교통부는 상가 요구를 수렴, 지난 2004년부터 지난해 12월까지 '도시계획시설 설치기준'을 7차례 개정해 상가에 설치할 수 있는 부대·편익시설 종류를 늘렸다. 이에 따라 상가는 전체의 30% 이내에서 영화관과 커피전문점·패스트푸드점 등을 입점 시킬 수 있게 됐다. 현재 용산 전자상가 곳곳에서 이러한 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상가 쇠퇴의 가장 큰 이유는 업종 제한보다는 상가가 변화에 뒤처졌기 때문"이라며 "용산은 전자제품으로 특화된 곳이기 때문에 유통업무설비를 해제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상가들은 규제 완화를 통해 전자상가를 다른 모습으로 재탄생시키고 싶지만, 지자체는 상가가 자생력부터 강화해야 한다며 뒷짐 지고 있는 형국이다.
김동훈·이충희 기자 donggool@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