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주의 도입의 일환으로 대졸 신입사원의 초임 삭감을 추진하는 은행들이 사상 최대 배당잔치를 벌이고 있다. '기업소득 환류세제' 등 정부의 배당확대 정책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이지만 가계소득 증대라는 정책 취지에는 배치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주요 은행권 금융지주사의 올해 배당성향은 20%를 훌쩍 넘겼다.
신한지주(055550)는 올해(2015년 결산 기준) 배당총액을 2001년 지주사 출범 이후 최대인 6310억원으로 책정했다. 1주당 배당금도 1200원으로 종전 최고액인 2014년의 950원보다 대폭 늘렸다.
보통주를 기준으로 신한지주의 배당성향은 2011년 11.5%에서 2012년 14.3%, 2013년 16.2%, 2014년 21.6%를 거쳐 지난해 결산기준 24.0%까지 상승했다.
KB금융(105560)도 올해 3786억원을 배당하기로 해 지난해(2014년 결산 기준) 3013억원을 뛰어넘었다. 주당 배당금도 지난해 780원에서 올해 980원까지 끌어올렸다. KB금융의 배당성향은 2011년 11.7%, 12년 13.4%, 13년 15.2%, 14년에는 21.5%, 지난해에는 23.2%(주총 결의 전 잠정수치)다.
배당성향이란 기업이 벌어들인 당기순이익 중에서 주주에게 배당한 금액이 얼마나 되는지를 보여주는 비율이다.
정부는 지난해 이익의 일정 부분을 투자나 임금, 배당 등에 쓰지 않고 사내유보금으로 쌓아둔 기업에 세금을 물리는 '기업소득 환류세제' 등 배당 확대 장려책을 내놓은 바 있다. 당초 정부는 기업에 쌓여 있는 돈이 가계로 흘러가 소비와 내수가 살아나는 선순환을 기대했다. 당시 최경환 경제부총리도 "전국민이 수혜자"라고 밝혔다.
하지만 인건비 부담이 늘어날 것을 우려한 은행들은 투자와 고용, 임금을 늘리는 대신에 배당에만 열을 올리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7개 은행을 포함한 34개 금융기관을 회원사로 둔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는 올해 금융노조와의 임금단체협상에서 성과연봉제를 사용자측의 요구사안으로 명시하는 동시에 대졸 신입사원 초임도 시장 수요와 공급 수준에 맞춰 낮추기로 했다.
은행권 관계자는 "지난해 실적 호조에도 불구하고 대내외 금융불안의 영향으로 은행주가 힘을 받지 못하고 있다"며 "배당을 높이는 것이 투자심리도 개선시키고 개인투자자들에게도 이익이 돌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신한·KB·하나금융지주 등 국내 은행권 금융지주의 외국인 투자자 지분 비중은 65~70%에 달한다.
이종용 기자 yong@etomato.com
사진/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