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망증 등 치매처럼 오는 노인성 우울증

환자 5년만에 30% 증가…위장장애 등 신체증상 보여

입력 : 2016-04-06 오전 6:00:00
[뉴스토마토 최원석기자] 우울증은 노년기에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정신적인 문제 중 하나다. 우울증을 나이탓이라 여기고 치료를 소홀히 하는 경우가 적잖은데, 이를 방치할 경우 자살, 심근경색, 치매 등으로 악화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건국대병원의 도움말을 통해 노인성 우울증의 예방과 치료에 대해 알아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우울증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2015년 60만1000여명으로 2011년(53만4800여명) 대비 12% 증가했다. 지난해 기준 성별로는 여성 환자가 40만6000여명으로 남성 환자 19만4700여명보다 2배가량 많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 우울증 환자가 27만4400여명으로 전체 환자에서 45% 비중을 보였다. 2011년(21만6400여명) 대비로는 27% 증가했다. 
 
노년기 우울증은 사회적·환경적, 생물학적 요인이 원인으로 꼽힌다. 환경적 요인은 배우자의 사별, 은퇴, 경제적 곤란 등이다. 변화된 환경뿐만 아니라 뇌를 포함한 신체적 건강상태도 우울증 발병과 연관성이 깊다. 암, 중풍, 당뇨병, 고혈압 등 신체 건강 악화로 우울증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뇌 건강은 치매 질환뿐 아니라 우울증 발생여부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다. 
 
노년기 우울증의 경우는 젊은 성인의 우울증 증상과 다른 점이 많다. 젊은 사람들은 우울증에 걸리면 흔히 '우울하다'라는 감정을 표출하고 우울 감정 증세를 보인다. 이와 달리 노년기에는 '우울하다'라는 감정 표현보다는 '몸이 여기 저기 아프다'라는 신체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신체질환에 대한 걱정으로 내과나 외과 등 일반병원을 찾기도 한다. 
 
우울증으로 인해 주의 집중력이 떨어져서 건망증이 심해지고 치매에 걸린 것으로 생각하는 경우도 적잖다. 그래서 노년기 우울증을 일컬어 '가성 치매'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심해지는 불안이나 초조, 불면증 증세를 단순히 나이탓으로 여기고 우울증에 걸렸다는 생각을 하지 않을 수도 있다. 노년기 우울증은 다양한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하는 환자가 많다는 게 전문가의 설명이다. 
 
노년기 우울증의 치료는 우선적으로 병원을 찾아 제대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가족력, 과거 정신과 병력, 성격, 사회력, 신체 질병력 등을 종합적으로 진단해 우울증 여부를 판단한다. 
 
우울감과 에너지의 저하가 심해 생활하는데 불편을 지속적으로 느낀다면 치료를 받아야 한다. 다만 자신의 상태가 우울증이라고 생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몸이 피곤하면서 여기 저기 아프고 이상을 느껴 일반병원에 가서 전반적인 검사를 했는데도 계속 이상이 없다는 결과가 나오거나 걱정, 불안, 불면 등의 증상이 지속되고 진정-수면제로 일시적인 증상의 완화에 그치는 경우에는 반드시 우울증에 대한 전문적인 검사가 필요하다. 일단 우울증으로 진단되면 우울 증상의 심한 정도와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적극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좋다.
 
가벼운 우울증의 경우는 일단 비약물 치료로 시작한다. 간단한 환경의 조정과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로 인한 갈등과 문제를 다뤄주는 것만으로도 증상이 호전될 수 있다. 대인관계치료 및 인지행동치료와 같은 특별한 치료법들로 약물치료 없이 효과를 보기도 한다. 
 
증상이 지속되거나 심한 우울증에서는 빠른 호전을 위해 항우울제 투약이 필요하다. 우울증은 보통 항우울제에 반응하고 완치되는 경우가 많지만 동반되는 신체적 질환과 그 치료약물을 고려해 조심스럽게 투여해야 한다. 자신의 신체질환이나 투여받고 있는 약물에 대해 치료자에게 자세히 이야기해야 한다.
 
약물투약을 시작해 호전된 경우 약을 빨리 중단하기보다는 재발의 방지를 위해 생각보다 장기간 투여할 필요가 있다. 노년기에는 항우울제에 대한 치료반응이 젊은 성인보다는 부족할 수가 있기 때문에 다른 약물의 병합 또는 부가요법이 필요할 수 있다. 약물치료와 함께 정신치료를 같이 받는 것도 치료효과나 재발의 방지 측면에서 도움이 된다.
 
전문가들은 우울증의 예방을 위해선 평소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유승호 건국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고혈압, 당뇨, 심장질환, 고지혈증과 같은 관련 만성질환의 관리를 해야 한다"며 "신체적인 건강을 위한 운동, 건강한 식단, 사회활동 및 여가활동, 명상과 같은 마음을 챙기는 행위는 우울증을 예방하는데 크게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그는 "결국 노년기에는 통상적으로 우울할 것이라는 편견을 버리고 긍정적인 마음과 적극적인 활동을 유지하는 태도와 생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노인성 우울증은 '우울하다'라는 감정 표현보다는 두통·위장장애 등 신체증상을 보인다는 게 특징이다. 건망증이 심해지고 치매에 걸린 것으로 생각하는 경우도 많다. 방치하면 각종 합병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사진제공=뉴시스)
 
최원석 기자 soulch39@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최원석 기자
최원석기자의 다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