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송수연기자] 인터넷전화(VoIP) 전체 사업자 중 절반가량, 특히 별정사업자의 73%는 2차 분산서비스거부(DDoS) 공격시 대응능력이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 소속 한나라당 이경재 의원이 12일 방송통신위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1000명 이상 가입자를 보유한 기간 및 별정사업자 총 24곳을 조사한 결과 5곳(21%)은 우수, 8곳(33%)은 보통, 11곳(46%)은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조사대상 별정사업자 15곳 중 73%인 11곳은 대응능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파악돼 보완이 시급하다고 이 의원측은 분석했다.
이 의원은 “인터넷전화 전용 보안장비 운영을 통해 DDoS 공격에 대응하고 있는 사업자는 5곳(기간사업자)에 불과하며, 별정사업자(12곳) 대부분은 대응체계 보완이 요구된다”면서 “인터넷전화 보안 장비가 외산의 고가제품이어서 영세한 별정사업자가 도입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에 장비의 국산화를 통한 가격인하가 요구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별정 2호 사업자의 경우 일부 사업자(2곳)만 정보보호 정책이 있으며, 정보보호 교육을 실시하는 사업자가 없다”면서 “이는 보안담당자들의 정기적인 교육실시 및 정보보호 정책 수립을 고민은 하고 있으나 비용문제 등으로 실행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이와 함께 “인터넷전화 침해사고를 예방하고 대응하기 위해 VoIP 서비스 사업자 주요정보 통신기반시설 지정을 확대하고 공공ㆍ민간 보안통신을 아우르는 보안프로토콜 규격 표준화가 시급하다”며 “특히 영세 별정사업자들의 보안성 강화를 위한 기술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기간사업자들은 VoIP 네트워크 대상 DDoS 공격을 통한 서비스마비를 가장 심각한 위협으로 인식하는 반면, 별정사업자들은 VoIP 주요장비 대상 해킹을 통한 서비스마비를 가장 심각한 위협으로 인식했다고 이 의원은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