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형석기자] 우리은행 민영화를 두고 임종룡 금융위원장과 윤창현 민간 공적자금위원장(서울시립대 경영학부 교수)이 불협화음을 내고 있다.
이에 일각에서는 임 위원장의 경우 지난 5년간 실패한 우리은행 매각을 성공시켜야 하는 입장인 반면, 공적자금의 완전 회수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는 윤 위원장의 의견이 엇갈린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매각 여건이 긍정적이라며 올해 매각의지를 밝힌 반면 윤창현 공자위원장은 실질적인 투자자 없이는 매각이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혀 시장에서는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임 위원장은 지난 23일 서울 중구 우리은행 본점에서 열린 예금보험 관계 설명·확인제도 시연 행사에서 "(우리은행의)민영화는 꼭 필요하다"며 "매각 여건이 긍정적으로 변화되고 있으니 그런 점을 감안해 의지를 갖고 매각을 추진할 것"이라며 우리은행 매각의지를 분명히 했다.
이어 임 위원장은 이날 이광구 우리은행장과 우리은행의 지분 51.06%를 보유하고 있는 예금보험공사의 곽범국 사장과 전요섭 구조개선정책과장과 비공개 면담을 갖았다. 이날 면담에서는 우리은행 지분 매각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반면 윤 위원장은 공적자금 회수를 가장 큰 문제라고 밝혔다.
윤 위원장은 "우리은행 지분투자자가 유상증자에 참여해야 한다"면서 "매각 공고 역시 입찰에 참여할 진성 투자자 없이는 불가능하다"고 못박았다.
이 발언은 추후 공적자금 회수와 관련한 비판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포석으로 분석된다. 사실상 빠른 민영화를 원하는 임 위원장과는 다른 행보다.
우리은행 매각 방식 또한 전임 위원장이 지난해 7월에 정부 방침에 맞춰 발표한 계획이어서 당장 책임을 져야 하는 윤 위원장 입장에서는 부담스럽다는 판단이다.
이 매각 방식은 예금보험공사 지분 30%를 4~10%씩 쪼개 파는 과점주주 매각방식이다. 특히, 매각 완료 후에도 정부(예보)는 21.06%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지만 경영권을 행사하지 않기로 했다.
박상용 전임 위원장의 경우 투자자에게 매력을 높이기 위해 예보의 경영권 행사에 제한을 둔 것이다.
하지만 이 경우 지분투자자들이 연합해 사실상의 경영권을 획득할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윤 위원장 입장에서는 경영권 프리미엄을 받을 수 없어 투입된 공적자금을 완전히 회수할 수 없다. 이는 과거 론스타의 외환은행 인수처럼 비판을 받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임 위원장의 경우 금융 당국의 오랜 숙원인 우리은행 민영화에 성공할 경우 상당한 공적을 올릴 수 있는 기회"라며 "임기 내에 우리은행 매각을 서두르려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에 반해 윤 위원장은 현 상황에서 매각이 진행되면 전임이 만들어 놓은 매각 방식임에도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된다"며 "이는 지난해 10월 교체된 6명의 민간 공자위원도 같은 생각을 하고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임 위원장과 윤 위원장의 불협화음이 지속된다면 시장의 불확실성을 키우는 요소로 작용해 결국 우리은행 민영화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빠른 시일 내에 합의된 계획안이 나와야 한다"고 지적했다.
◇공동 공적자금위원장인 임종룡 금융위원장(왼쪽)과 윤창현 민간 공자위원장이 최근 우리은행 매각을 두고 엇박자를 내고 있다. 사진/뉴시스
김형석 기자 khs84041@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