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꽃 소비 대책은 '탁상공론' 정책

선물용서 생활용 전환책 시행…꽃 소비는 37% '뚝'

입력 : 2017-03-07 오전 6:00:00
[세종=뉴스토마토 김하늬기자]김영란법(청탁금지법) 시행 이후 화훼 시장이 크게 위축되자 정부가 꽃 소비 촉진을 위해 다양한 대책들을 쏟아내고 있지만 소비자들은 외면하고 있다. 난, 화환 등이 뇌물 범주에 속한다는 인식으로 아예 '안주고 안받는' 풍속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그동안 '선물용'으로만 소비되던 꽃을 '생활용'으로 촉진시키기 위한 대책의 실효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6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김영란법 시행 이후인 작년 10월~올 1월까지 화훼소매 거래금액은 1년 전 같은기간과 비교했을 때 37.6%나 급락했다. 세부적으로는 꽃다발·꽃바구니 19.9%, 근조·축하화환 32.6%, 난 등 분화류는 43.2% 등이다. 앞서 정부는 화훼 소비위축에 대응하기 위해 소비 활성화 대책을 내놨다. 80% 이상인 경조사 위주의 소비 구조를 생활용으로 전환하고, 소비자가 꽃을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겠다는 취지다.
 
이에 소비자가 쉽게 꽃을 살 수 있도록 슈퍼마켓이나 편의점 등 유통전문점 안에 '꽃 판매코너'를 설치하고, 기업과 공공기관 사무실에 꽃을 정기적으로 비치하는 '1테이블 1플라워' 운동도 추진했다. 현재까지 37개 기관이 참여해 4만4000테이블에 꽃이 배송되고 있다.
 
문제는 이같은 노력에도 꽃소비는 뒷걸음질 치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화원협회 1200개소의 작년 10~11월 두달 동안의 거래금액은 전년대비 26.5% 줄어들었다. 10~12월까지 세 달은 28%, 10월~올 1월 네 달 동안은 37.6%로 감소세가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선물용으로 주로 소비되던 화훼를 생활용으로 구입하도록 여러 대책들을 내놓고 있지만 소비자들의 '안 받는 문화'가 개선되지 않는 한 어려움을 겪을 수 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화훼협회 관계자는 "정부가 단기적인 대책을 중심으로 내놓고 있는데 근본적으로 화훼사업을 어떻게 끌고 갈것인지 전체적인 방향이 필요하다"며 "꽃 생활화를 포커스로 뒀다면 지금처럼 기업이나 기관 등 단기적 장식용에 치중하지 말고, 장기적으로 가정 꽃 생활화가 가능하도록 유인하는 대책을 내놓는 등 고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김영란법 시행 이후 화훼분야에서만 한 해 390~438억원의 생산액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2015년 기준 화훼 생산액은 6298억원이었다.
 

 
김영란법 시행 이후인 작년 10월~올 1월까지 화훼소매 거래금액이 1년 전 같은기간과 비교했을 때 37.6%나 급락했다. 사진/뉴시스


 
세종=김하늬 기자 hani4879@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김하늬 기자
SNS 계정 : 메일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