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강명연 기자] 미국 트럼프 정부가 세제개편안을 공개한 가운데 금융주가 반등의 계기를 마련할지 주목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법인세 인하를 포함한 세제개편안을 최우선 과제로 내세운 만큼 시행 기대감이 높아질 경우 시장금리 상승으로 이어져 금융주에 힘이 실릴 전망이다. 다만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연내 금리인상 가능성이 높아진 점은 금리 스프레드(장·단기 금리차) 축소로 이어지며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주는 미국의 세제개편안 통과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 미 공화당과 행정부 발표대로 법인세율을 35%에서 20%로 낮추고 개인소득세를 단순화하는 등 감세안이 실행되면 국채 발행이 늘어나며 시장금리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미 시장에서는 세제개편안에 따른 트럼프노믹스 부활 가능성이 금리를 밀어올리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은택 KB증권 연구원은 "최근 트럼프 행정부의 감세안 통과 기대감에 실질금리가 0.2%대에서 0.4%대까지 뛰어오르며 경기 회복 가능성에 힘이 실리고 있다"면서 "이에 글로벌 금융주들도 반등세가 뚜렷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류용석 KB증권 연구원은 "트럼프케어가 실패한 이후 미 행정부가 세제개혁안을 주요 정책 과제로 내세우고 있는 만큼 시장 역시 연내 통과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면서 "감세가 시행되면 미 행정부는 재정 확보 차원에서 채권 공급을 늘릴 것이고, 시장은 이를 선반영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연준의 연내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 역시 시장금리 상승에 힘을 싣고 있다. 다만 단기금리 상승폭이 크다는 부분은 금융주 수혜를 제한할 것으로 보인다. 서정훈 삼성증권 연구원은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이후 올해 금리인상 가능성이 높아진 만큼 통화정책에 크게 좌우되는 단기금리가 장기금리보다 상승폭이 크다"면서 "금리 스프레드는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서 은행들이 추가수익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국의 경제 여건이 미국과 다르다는 점에서 국내 금리 상승으로 이어지기 힘들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지난주 외국인의 국고채 대량 매도로 시장금리가 급등했지만, 북핵 리스크 등 단기 이벤트에 지나지 않을 거란 전망도 나온다. 류 연구원은 "전 세계 증시가 같이 움직이는 동조화 현상으로 한국 금융주도 상승 압력을 받을 수 있겠지만, 국내 산업생산지표 등 경기회복 신호가 뚜렷하지 않기 때문에 자금 수요에 대한 기대감이 높지 않다"고 말했다.
미국 트럼프 정부가 세제개편안을 공개한 가운데 금융주가 반등의 계기를 마련할지 주목된다. 사진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뉴시스·AP
강명연 기자 unsaid@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