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진양 기자] 다음달부터 대기업들의 주당 최대 근로시간이 68시간에서 52시간으로 단축되는 가운데, 해당 기업들 절반 가량이 향후 경영실적에 부정적 영향이 미칠 것으로 우려했다. 근로시간 단축이 노동시장에 연착륙하기 위해서는 탄력적 근로시간제도 단위기간 연장 등의 제도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이 6일 2017년 매출액 600대 기업 중 7월1일부터 근로시간을 단축해야 하는 372개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55.4%가 영업이익 등 전반적 경영실적에 부정적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긍정적 영향을 점친 기업은 19.6%였다.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애로사항으로는 '노조의 근로시간 단축으로 축소된 임금보전 요구'와 '생산성향상 과정에서 노사간 의견 충돌'이 각각 35.7%로 가장 높았다. '종업원 추가 고용에 따른 인건비 부담'(25.9%), '신제품 개발 및 연구개발 기능 저하'(15.2%), '협력업체 납기지연에 따른 생산 차질'(10.7%) 등이 뒤를 이었다.
근로시간 단축으로 가장 많은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되는 부서에 대해서는 72.3%가 생산현장인 공장을 꼽았다. 다음으로 연구개발 부서(22.3%), 영업 부서(19.6%), 인사부서(13.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근로시간 단축에 대한 주요 대응계획으로는 대부분(74.1%)이 '생산성 향상 대책 추진'을 들었다. '신규인력 채용'(27.7%), '일부 업무외주화'(12.5%), '해외 공장 이전 검토'(1.8%) 등의 응답이 뒤를 이었다. 생산성 향상을 주요 대응계획으로 선택한 기업을 대상으로 대책을 물은 결과, 사무·연구개발 분야는 '유연근로시간제 실시'(54.2%), '집중근로시간제 실시'(43.4%), '칼퇴근 문화정착'(34.9%), '회의시간 축소'(25.3%) 등을 차례로 꼽았다. 생산현장은 '교대제 개편'(50.6%), '근로시간 유연화'(32.5%), '스마트공장 추진'(31.3%), '인력전환배치'(22.9%) 등을 제시했다.
근로시간 단축을 한국 노동시장에 연착륙시키기 위한 제도보완 방안으로는 57.1%가 '탄력적 근로시간제 단위기간 연장 필요'를 선택했다. 그 다음으로 '근로시간 저축제도 도입'(33.9%), '생산성에 상응하는 임금체계 구축 지도'(32.1%), '화이트칼라 이그잼션 제도'(19.6%) 등이 제안됐다. 탄력적 근로시간제 단위기간 연장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기업들은 절반 이상(64.1%)이 취업규칙에 따른 단위기간을 현행 2주에서 3개월로 연장해야 한다고 답했다.
김진양 기자 jinyangkim@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