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우찬 기자] 다양한 산업에서 블록체인 기술 접목 시도가 활발한 가운데, 건축·인테리어 분야에서도 블록체인에 눈독을 들이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다른 분야에 비해 아직 활성화 국면은 아니지만 다양한 가능성을 두고 시도가 이어지고 있는 모습이다.
2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블록체인과 건축, 인테리어의 컬래버 추진은 크게 두 가지 흐름으로 요약된다. 먼저 블록체인이 시공건설 계약에서 계약서 진본 확인 유무 등에 쓰일 가능성이다. 다른 하나는 상대적으로 불투명한 건설 노동현장에서 노동자의 임금체불 등을 막기 위한 기술로서의 가능성이다.
먼저 전자계약, 개인정보, 거래이력 보안 등에서 블록체인이 폭넓게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업계는 보고 있다. 공인중개사가 중개하는 부동산에 비해 건축, 인테리어 쪽은 현재 보증 관련 부분이 취약하다. 이 부분을 블록체인 위변조 방지 기술로 진본인증에 활용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예를 들어 오프라인에서 작성한 계약서를 온라인에서 입력하게 해 전자문서화 하고 블록체인 위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한 공사 단계별 자동관리도 기대할 수 있는 부분이다. 인테리어 업계 한 관계자는 "공정별로 고객이 어느 시점에 해당 공정의 수락을 승인하면 바로 일정 금액의 중도금이 지불되거나, 어느 일정 조건이 되면 다음 공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화 가능을 예상해볼 수 있다"며 "이는 토큰 기반의 단계별 대금 지급 시스템이 함께 구축되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건설현장에서의 노동자 임금체불 등의 문제를 줄이는 데에도 블록체인이 활용될 수 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올해 1월 한 포럼에서 "서울시가 발주하는 공사의 대금 청구부터 지급까지 모두 블록체인을 이용하겠다"며 "원청과 하청의 체계적인 계약, 하도급 대금 지급 등이 자동으로 되게 해 노동자의 임금 체불이 없도록 만들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서울시가 발표한 '블록체인 도시 서울 추진계획'에는 '하도금 대금 자동지급'이 담겨있다.
실제 건설현장에서의 임금 체불 문제는 심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건설현장의 다단계 하도급 구조와 관련돼 있다. 일용직건설노동자들을 원청에서 직접 고용하지 않는 구조로 원청인 건설사가 1차 하도급업체에 임금 지불을 제대로 했어도 2, 3차 하도급을 거치면서 임금 지급이 느려지고, 심지어 체불되는 일이 많은 것으로 파악된다. 고용노동부는 지난 최근 3년 동안 임금체불로 2번 이상 유죄가 확정되고 최근 1년 동안 체불액이 3000만원 이상인 사업주 242명의 명단을 공개했는데, 업종별로는 제조업(81명·33.5%)에 이어 건설업이 73명(30.2%)으로 많았다.
관련 프로젝트를 보면 핀테크기업 '직뱅크'의 경우 건설·제조·유통 분야에서 발생되는 용역거래의 부작용을 막고 투명하고 간편하게 거래할 수 있는 결제 시스템 직페이를 개발해 활발히 움직이고 있다. 직페이 시스템은 블록체인을 응용해 프로젝트에 참여한 대상만 사용할 수 있는 프라이빗 형태의 바우처(토큰) 방식을 적용했다. 건축이나 인테리어 공사를 맡길 때 고객(발주자)이 해당 프로젝트에 지급할 대금을 안심 계좌에 예치하고, 예치한 금액만큼 업체(공급자)에게 토큰으로 대체 지급해 사기나 먹튀를 방지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해당 업체(공급자)는 대체 결제된 토큰으로 프로젝트에 필요한 자재 구매나 외주용역, 인건비를 결제할 수 있으며, 약정기간이 지난 토큰으로 고객이 예치한 계좌에서 직접 환전 받는 시스템이다.
용역거래 투명화를 위한 또 다른 시도로는 '히든코인'을 예로 들 수 있다. 히든코인 백서에 따르면 히든코인은 건설현장에서의 수많은 결제를 투명하게 편리하게 하기 위한 암호화폐 프로젝트다. 건설현장에서는 자재, 장비 대여, 노임 등 결제가 월별·주별·일별 등으로 이뤄지며, 종류는 다양하고 지급방법도 현금, 수표, 어음 등으로 많다. 히드코인은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결제 지연, 어음·수표결제의 늦은 현금 회전율은 부도, 인건비 연체 등으로 이어져 참여회사와 산업 종사자의 삶을 어렵게 만들고 곤경에 빠지게 한다고 프로젝트 추진 배경을 설명했다.
블록체인업계 관계자는 "건축, 인테리어 쪽은 현재 전반적으로 활성화 돼 있는 프로젝트가 많지 않은 게 사실"이라면서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했을 때 시장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혜택을 얻을 수 있는지 명확한 그림이 나오면 기술 적용 보급화도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우찬 기자 iamrainshine@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