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황인표기자] 6월말 우리금융(053000)지주 매각공고를 앞두고 복잡한 계산이 시작됐습니다. 현재 논의되는 매각 방식 그리고 전망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현재 금융당국은 6월말 경 매각 공고를 낼 계획입니다. 그런데 현재 누구에게 어떤 식으로 매각할지 결정하지 못했습니다. 매각 인수자가 매각방법을 직접 결정하고 가격을 써내면 금융당국이 적합자를 선정하는, 상당히 자유로운 방식입니다.
현재 우리금융 매각과 관련해 거론되는 방식은 크게 세 가집니다.
먼저 정부가 가진 57%의 지배지분을 통째로 매각하는 것으로 경영권 프리미엄을 챙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인수자금이 워낙 크다 보니 사실상 외국계 자본만 참여가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둘째는 소수지분을 블록세일 방식으로 시간을 두고 매각하는 방법입니다. 이 경우 민영화는 결국 되겠지만 시간이 오래 걸리는게 단점입니다.
셋째는 시중 금융지주사와의 합병입니다. 현재 유력한 후보로는 하나금융지주가 얘기되고 있습니다. 이 역시 시간이 오래 걸리고 정부 지분이 완전히 해소되는게 아니기 때문에 진정한 민영화라 말하기도 어렵습니다. 여기에 특혜 논란도 당국에 부담이 됩니다.
이같이 매각 방식이 여러갈래로 나뉘는 데도 이유가 있습니다. 당국이 정책방향이 정하지 못한 배경에는 최근 여당의 지방선거 참패, 여기에 G20회의에서 은행대형화에 제동을 거는 국제적 분위기 등이 얘기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올해 안에 적임자를 찾지 못하면 다음 정권에 우리 금융 매각 문제가 넘어갈 가능성도 큽니다.
여기에 바로 그제 불거진 경남은행 PF대출 부실 문제도 작은 변수가 되고 있습니다. 경남은행은 우리금융지주의 계열사인데요 이 은행의 한 부장이 인감등을 위조해 보증을 서주다 약 1000억원 가량 손실을 입게 된 겁니다. 금감원은 바로 책임자를 찾아 엄중문책하겠다고 밝혔고 현재 다른 은행에 대해 조사중입니다.
하지만 최근 불거진 PF대출부실이 제1금융권까지 영향을 끼치고 그 첫 대상이 우리금융지주 산하 계열사라는 것은 2분기 실적 등에 상당히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전망입니다.
메가뱅크냐 분할매각이냐 상당히 많은 논란이 있었던 우리금융 민영화는
결국 당국의 입김이 상당 부분 배제된 형태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뉴스토마토 황인표 기자 hwangip@etomato.com
- Copyrights ⓒ 뉴스토마토 (www.newstomato.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