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달리면 달릴수록 적자 '따릉이'

한 해 적자 200억원 서울시 "요금인상 계획 없어"

입력 : 2020-11-08 오후 12:00:00
[뉴스토마토 표진수 기자] 서울시가 시민들의 편의를 위해 운영하는 공공자전거 따릉이가 저렴한 이용 요금에 비해 운영비 지출이 커 매년 적자에 시달리고 있다.
 
9일 최기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따릉이의 적자(운영비-수입)는 지난 2017년 68억1100만원, 2018년 99억3400만원, 2019년 113억4700만원, 2020년(8월 기준) 157억3600만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올 연말까지 200억원 적자 돌파도 가능하다.
 
따릉이의 수입은 시민들의 이용 요금으로 한정돼 있지만, 운영비와 구축비 등의 지출이 많아 적자 문제가 계속되고 있는 것이다. 2017년부터 4년간 누적 적자액만 438억2800만원에 달한다.
 
올해 따릉이의 예산(운영비+구축비)은 345억원이다. 그 중 운영비(인건비, 유지보수 포함)는 239억원에 달하는데, 이는 따릉이가 활성화된 지난 2017년 약 99억원에 2배가 넘는 수준으로 증가한 수치다.
 
서울시는 따릉이를 공공재라고 판단해 시민들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따릉이의 요금은 1일권 가격은 1시간에 1000원, 2시간 2000원으로 저렴하다. 이는 1시간당 기본요금 1000원에 1분당 100원으로 요금을 받는 공공전동킥보드와 비교해 봤을 때 저렴한 수준이다.
 
예컨대 2시간 이용할 경우 따릉이는 2000원인데 반해, 공공전동킥보드 요금은 7000원이다. 그럼에도, 서울시는 요금 인상을 검토하지 않고 있다.
  
현재 추세대로라면 따릉이의 대수를 계속해서 늘어 운영비로 인한 적자 폭은 더욱 심해질 것으로 관측된다.
 
서울시는 올해 들어서 QR코드를 스캔하면 바로 대여하고 반납할 수 있는 QR형 뉴따릉이 8000대를 도입, 15세 미만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위한 새싹 따릉이도 이달 말부터 시범 운영을 준비하고 있다.  계속되는 따릉이 보급으로 적자 폭이 더욱 커지게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따릉이를 민간업자에 맡겨 최소한의 수익성을 갖춰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성중기 서울시의원은 <뉴스토마토>와의 통화에서 "공공자전거 4만대 시대에서 계속해서 따릉이가 적자를 내서는 안 된다"면서 "서울시에서 운영 중인 공영주차장을 민영에 맡긴 것과 같은 방식으로 따릉이를 민간에 맡겨 요금을 책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앞서 공공자전거 운영에 실패해 민간에 맡긴 지역도 있다. 2010년 시작된 고양시 공공자전거 '피프틴'은 고양시민들의 많은 관심을 받아 이용됐지만, 매년 적자 운영으로 막대한 시 재정을 수반해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이에 고양시는 피프틴을 보다 발전시킨, 새로운 운영시스템을 마련해 민간 사업자로 KT와 옴니시스템을 선정해 내년부터 운영을 시작한다. 이 서비스는 수원시와 성남시, 부천시, 안산시, 하남시 등 경기도 내 여러 지자체에서도 현재 시행 중이거나 시범 운영하고 있다.
  
서울시는 지역마다 따릉이 인프라 구축이 완료됐고, 따릉이의 이용 건수·요금 수입이 증가하고 있어 앞으로는 적자 폭 감소를 기대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아울러 내년도 따릉이 예산안도 올해 340억원에서 20억 감축한 320억원가량으로 계획했다.
 
실제 따릉이의 회원 수는 272만2818명에 달한다. 올해 누적 건수도 2000만건을 돌파했고, 요금 수입도 2017년 30억9400만원에서 올해(8월 기준) 82억4800만원으로 약 2배 증가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뉴스토마토>와의 통화에서 "지금까지는 따릉이의 인프라 조성 구축에 힘을 썼다면, 이제는 비용 보존율을 전체적으로 상향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 일대에서 한 시민이 따릉이를 대여하고 있다. 2020.04.08. 사진/뉴시스
 
표진수 기자 realwater@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표진수 기자
SNS 계정 : 메일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