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년간 코로나19로 많은 이들이 자가격리와 거리두기 등 방역수칙을 지키며 살고 있다. 코로나와 싸우는 방역중에 사람을 만나지 않고, 마스크 쓰는 등의 예방조치가 효과가 있다고 생각해서다. 과거 전염병이 발생했을때도 비슷했다. 페스트와 싸우면서 위생을 위한 행정과 검역이 생겨난 것이다. 이때도 전염을 막으려면 환자 파악과 격리가 필수라고 생각해 관리들은 환자와 그 가족을 집에 가둔 채 문을 잠갔다. 매일 아침 페스트로 격리된 지역에가서 환자에게 창문 밖으로 머리를 내밀게 했다. 머리를 내밀지 않으면 죽은 것으로 간주했다. 초기방역 행정은 이렇게 시작됐다.
코로나19 전염병을 겪고 있는 현재도 페스트때와 별반 다르지 않다.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른 행정력을 갖고 있지만 '환자파악과 격리' 라는 기본검역의 중요성은 똑같다. 코로나3차 확산이후 피로도가 높아짐에도 당국이 계속 강도 높은 거리두기를 유지하는 이유도 마찬가지다. 그나마 최근 확진자가 하루 1000명대에서 300명대까지 떨어진 데다 소상공인·자영업자의 생계곤란을 고려해 거리두기 완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커지고 있지만, 여전히 집단감염이라는 돌발변수, 설연휴, 변이 바이러스 등을 감안할 때 쉽게 결정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또 사람들의 기대를 키우는건 '백신접종'이다. 정부가 전 국민 70%에 대해 1차 무료접종을 시행해 오는 11월 집단면역을 형성하겠다고 공언했기 때문이다. 이르면 내달부터 고위험 의료기관 종사자, 요양병원 복지시설 등을 시작으로 접종이 시작되는 만큼 코로나종식에 대한 속도가 붙게 될 전망이다. 하지만 섣부른 낙관은 코로나4차 유행이라는 부메랑으로 돌아올 수 있다. 상대적으로 1000명대 확진자가 나왔을 때보다 300명대는 크게 줄어든 것처럼 보이지만 2차 코로나 유행일 때 수준이다. 게다가 집단감염 여파로 400~500명대가 나올때도 있으며 설날이라는 변수가 남아있다.
국민들의 관심은 이번주쯤 발표할 거리두기 연장여부다. 밤 9시, 5명이상 모임금지라는 피로도에 소상공인들의 경제적 어려움이 코고 당국의 고심을 높이게 할 수 밖에 없어서다. 게다가 정서상 설날 연휴에 5명이상 모임을 금지할 경우 상당한 반발도 예상된다. 우스갯소리로 지난 추석 때 방송으로는 며느리에게 오지 말라고 하면서도 속으로는 우리 자식들은 내려오겠지라고 생각한다는 이야기가 나오기도 했었다. 또 설 연휴에는 전체 인구이동량이 늘어날 수 밖에 없다. 아무리 국민들이 고향을 찾지 않는다 해도 이동인구은 적지않을테다. 코레일에 따르면 전체 승차권 171만석 중 현재 33만석이 판매된 상태다. 최근 환자 감소 추세더라도 집단감염이 산발적으로 발생하는 상황에서 이동량 증가는 언제든 다시 확산세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방심은 금물'이다. 소상공인의 어려움 가중 등 어려움이 많지만 설 연휴때까지는 방역의 고삐를 지속적으로 당겨야 한다. 또 정부는 643만명의 자영업자의 경제적 어려움을 해결하기위해 손실보상 제도를 논의 중이다. 정부는 올해 방역 친화적이면서도 경제를 살리는 방향의 정책을 펼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힘들고 지치지만 한달 정도만 더 '거리두기'에 노력을 꾀해보자. 기본을 지킬 때 전염병과의 사투가 한 발 더 빨리 마무리 될 수 있을 것이다.
김하늬 경제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