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조문식 기자] 정부가 핵심 원천기술 개발과 장기·협업 중심 연구 생태계 기반 조성을 강화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5일 제9회 소재·부품·장비 기술특별위원회를 열고 이런 내용을 담은 ‘소재 R&D 투자 혁신 전략(안)’을 심의·의결했다.
정부는 내달 중 수립하는 ‘2022년도 국가 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안)’에 이번 투자전략을 반영한다. 과기정통부 측은 “10년 이상을 내다보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소재 R&D에 특화된 투자 전략이 필요하다는 현장 의견에 따라 이번 전략을 마련했다”라고 밝혔다.
정부는 희토류 등 희소원소의 공급 부족 우려가 있다는 지적에 따라 이를 핵심 전략 원소를 선정, 사용 대체 및 재활용 기술 개발 등을 추진한다. 또 소재의 물성 등에 기초한 연구 강화를 통해 유망 소재를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일본 수출규제 및 코로나19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 변화에 대응해 핵심 품목에 대한 공급 안정화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모빌리티 △디지털 혁신 △에너지·환경, △바이오·헬스 등 산업·사회 전반의 변화를 선도할 주요 4대 분야 경쟁력 확보를 조력한다.
데이터·인공지능(AI)을 활용한 연구방법론 혁신을 위해서는 ‘데이터 기반 소재 연구 혁신허브’ 구축을 돕고, 데이터 활용 선도 프로젝트 및 AI·데이터·로봇공학 등을 융합한 지능형 재료 실험실 구축도 준비한다.
신소재 개발을 위해서는 장기적인 연구가 필수적이라는 현장의 요구를 반영, 같은 주제로 연구가 가능한 갱신형 제도도 도입할 예정이다. 아울러 소재 R&D 투자전략 수립을 지원할 상시적·전문적 추진체계가 미흡하다는 지적에 대응하기 위해 싱크탱크 역할을 담당할 ‘국가기술전략센터(가칭)’를 설치·운영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CI.
조문식 기자 journalmal@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