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정하 기자] 정부가 청년·중장년·여성 3대 계층 27만5000개 일자리 창출에 2조1000억원을 투입한다. 집합제한·금지업종을 대상으로 한 고용유지지원금 지급 등 고용유지에는 3000억원을 투입한다.
또 맞춤형 신기술 훈련 등 취업지원서비스에는 2000억원을 신규 공급한다. 코로나로 인한 돌봄공백을 막기 위해 돌봄 및 생활안정에도 2000억원을 편성했다.
정부는 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2021년도 추가경정예산안(2차 맞춤형 피해지원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추경에는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긴급 고용대책으로 3대 계층 5대 분야 일자리 창출, 고용유지지원금 지급, 취업지원서비스 제공, 돌봄 및 생활안전 등을 담고 있다.
특히 청년·중장년·여성 맞춤형 일자리를 제공하는 데 역점을 두고 있다. 이는 역대급 고용위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직접 공공일자리 창출보단 현장 수요가 많은 분야를 타기팅(Targeting)하는 등 일자리 사업 창출에 주력하려는 조치다.
우선 청년(14만명), 중·장년(5만8000명), 여성(7만7000명) 등에 대해서는 27만5000개의 일자리를 제공한다. 일자리는 현장수요가 큰 디지털, 문화, 방역·안전, 그린·환경, 돌봄·교육 분야다. 일자리 창출에는 2조1000억원을 투입한다.
디지털 분야에서는 7만8000명의 일자리가 생긴다. 4000개의 일자리 창출이 기대되는 온라인 튜터(개인지도교사·Tutor)의 경우는 저소득층 가정의 자녀 학습 도우미 역할을 하게 된다. 온라인 튜터 창출은 비대면 교육 확산에 따른 어려움을 해결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직업군이다.
아울러 IT직무지원(5만5000명), 인공지능(AI)·바이오·중소기업데이터구축(9000명), 비대면분야 창업(4000명) 등도 포함돼 있다.
문화 분야(1만5000명)에서는 실내체육시설에 7000명을 재고용한다. 이는 최근 실내체육시설에 대한 규제 완화로 그간 해직됐던 트레이너 등이 재기용될 수 있도록 인건비의 80%를 6개월 동안 지원하는 방안이다. 그 다음으로는 예술현장제작인력 6000명, MICE(기업회의, 포상관광, 컨벤션, 전시회, 이벤트) 산업·공연업계 디지털화 1000명 등이 있다.
방역·안전 분야(6만4000명)는 코로나 상황에 따른 생활방역(3000명), 의료기관·요양시설 방역(1만2000명), 학교방역(1만), 백신접종지원(1만) 등이 창출된다.
그린·환경 분야(2만9000명)에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에 따른 대응 지역 환경관리(1만2000명), 재활용선별(1만명) 등이 신규로 생긴다. 돌봄·교육 분야(1만7000명)은 아동돌봄이력보강(8000명) 등의 일자리 창출 사업을 추진한다.
일자리 지키기에는 3000억원을 투입한다. 오는 3월 말까지 적용되는 집합제한, 금지업종 고용유지지원금 90% 특례지원은 3개월 연장한다. 11.0%의 초저금리인 휴업·휴직수당 융자 사업 종료도 6개월 더 늘어난다.
신기술 분야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 및 디지털 취약계층 기초훈련 바우처 지원에는 674억원을 투입한다. '한국형 실업부조'로 올해 1월부터 시작된 국민취업지원제도 지원대상에는 청년 5만명 확대키로 했다. 해당 예산은 1078억원 규모다.
코로나 장기화로 인한 구직단념자 5000명도 적극 발굴한다. 정부는 국민취업지원제도 등 기존 고용프로그램으로 연계하기 위해 65억원을 편성했다. 고졸청년 경력단절여성 1만6000명에 대해서는 지자체 맞춤형 일자리 400억원을 투입한다.
돌봄과 생활안정에도 2000억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코로나에 따른 돌봄 공백으로 양육아동을 둔 여성의 경력이 단절되지 않도록 제도·인프라 확충 지원에 쓰인다. 저소득 근로자·특고 생활자금 저리융자도 1만명을 확대하는 등 500억원을 지원한다. 저소득 장기 직업훈련생에 대한 생계비 융자는 9000명 더 늘리는 등 410억원을 투입한다.
정부가 2일 '2021년도 추가경정예산안'을 통해 청년·중장년·여성 맞춤형 일자리 27조5000만개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은 희망일자리센터에서 구인 게시물을 보고 있는 시민 모습. 사진/뉴시스
세종=이정하 기자 ljh@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