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백주아 기자] 항공업계가 내달 말 정부의 고용유지지원금 지원 종료를 앞두고 고용 불안감에 떨고 있다.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경영 악화가 지속되는 가운데 지원금이 끊기면 구조조정이 불가피할 것이란 우려 때문이다. 정부는 지원금 지원 기간 연장 여부를 놓고 고심 중인데 업계 상황을 고려해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인천국제공항 활주로에 아시아나항공 항공기가 착륙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시스
27일 항공업계와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내달 30일을 기점으로 고용유지지원금 지원이 만료된다. 고용유지지원금은 사업주가 노동자에게 제공하는 휴업·휴직 수당에 대해 정부가 지원하는 보조금이다. 사업주가 고용을 유지한다는 조건 아래 유급휴직의 경우 평균 임금의 70%에 달하는 휴업수당을 최대 90% 지원하고 나머지 10%는 기업이 부담한다. 지원기간은 연간 최대 180일까지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3월 항공업을 포함한 8개 업종을 특별고용지원업종으로 지정했다.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기간은 당초 지난해 9월까지였지만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올해 3월말로 연장됐다. 이에 고용유지지원금 지급기간도 기존 연 최대 180일에서 240일로 늘어났다.
정부 지원에도 여객 수요의 더딘 회복으로 항공사들은 심각한 경영난에 허덕이고 있다. 대한항공을 제외한 나머지 5개 항공사(아시아나항공·제주항공·진에어·티웨이·에어부산)의 올해 1분기 영업손실은 2512억원에 달한다. 특히 저비용항공사(LCC)의 경우 티웨이항공을 제외하고 대부분 자본잠식에 빠진 상태다. 에어서울, 플라이강원 등 비상장사까지 더하면 손실 규모는 더 늘어난다. 대한항공의 경우 화물 사업 호조로 국내 항공사 중 유일하게 흑자를 달성했지만, 인건비·유류비 등을 포함한 영업비용 30% 가까이 줄이면서 얻은 '불황형 흑자'라는 평가다.
정부가 고용유지지원금을 연장하지 않을 경우 항공사들은 무급휴직을 단행할 수밖에 없다. 항공업 관련 종사자 규모는 대략 8만명으로 추산된다. 항공사들은 전체 인력 가운데 약 50~70%가량을 유·무급 휴직을 진행하며 허리띠를 졸라매는 상황이다. 최근 티웨이항공을 비롯한 LCC 업체들은 오는 7월부터 무급휴직 신청자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무급휴직은 유급휴직과 마찬가지로 지원금을 받을 수 있지만 평균 임금의 50% 수준(상한액 198만원)으로 지원 규모가 떨어진다. 오는 6월 말 지원금 지급 기한이 만료될 경우 종사자들은 유급휴직 지원이 재개되는 내년까지 무급휴직으로 버텨야 하는 상황에 몰릴 수밖에 없다.
업계는 코로나19 장기화로 항공업 전반의 회복이 요원한 상황에서 정부 지원이 절실하다고 호소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백신 보급으로 여객 수요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높지만 아직까지 국제선 운항이 정상화되기 어려운 만큼 대부분 항공사가 실적 방어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며 "자본잠식 상태에 빠져있는 LCC는 최악의 경우 고강도 인력 구조조정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내몰릴 것"이라고 우려했다.
한국항공협회는 다음주 중으로 고용유지지원금 지원기간 확대를 위해 국토교통부와 고용부에 건의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앞서 한국민간항공조종사협회도 지난 24일 성명을 통해 "현재 국내 항공종사자들은 코로나로 인한 경영악화의 희생양이 되어 생사의 갈림길에 서 있다"며 "재정이 어려워진 항공사의 경우 코로나19 이후 손실 보전을 위해서 항공요금을 인상할 수밖에 없는 만큼 재정악화 속도를 늦출 수 있도록 정부 지원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정부도 업계의 호소를 신중히 검토하고 있다. 고용부 고용정책총괄과 관계자는 "기획재정부와 협의를 통해 지원금 연장 여부를 검토해 나가는 상황"이라며 "지원기간 연장과 관련해 아직 확정된 사항은 없지만 기업들이 추후 상황을 대비할 수 있도록 서두를 계획"이라고 말했다.
백주아 기자 clockwork@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