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최유라 기자] 국내 71개 기업집단(그룹)의 지난해 매출이 약 1600조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매출 중 삼성·현대차·
SK(034730)·
LG(003550) 4대 그룹이 절반을 책임지고 있다.
기업분석 전문 한국CXO연구소가 2일 발표한 ‘국내 71개 기업집단 경영 실적 및 고용 분석’에 따르면 71개 그룹에 속한 2600곳이 넘는 회사에서 올린 작년 매출액 규모는 1607조원으로 집계됐다. 조사 대상은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가 올해 자산 5조원 이상으로 지정한 71개 그룹이다.
이는 2019년 64개 그룹에서 올린 1617조원보다 오히려 적어진 금액이다. 올해 파악된 71개 그룹의 계열사 수는 작년 에 지정된 64개 그룹 내 2284곳보다 300곳이 더 많았다. 편입된 그룹과 계열사 수는 더 많아졌지만 매출덩치는 1년 새 더 쪼그라진 것이다. 코로나19의 여파가 대기업 집단의 매출 하락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표/한국CXO연구소
71개 그룹 매출 중 삼성 영향력 20.8%
특히 71개 그룹이 작년에 올린 매출 규모는 같은 기간 국내 명목 GDP 1924조원의 83.5%에 달했다. 국내 주요 그룹이 한국경제에 차지하는 영향력이 막강하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수치다. 71개 그룹 중에서는 삼성(333조원)의 매출 포지션이 20.8%로 가장 높았다. 71개 그룹 전체 매출의 5분의 1 정도를 삼성에서 도맡았다. 세부적으로 330조원이 넘는 삼성 그룹 매출 중 49.8%는
삼성전자(005930)(166조원) 한 곳에서 올린 것으로 파악됐다.
삼성그룹 다음으로 현대차(181조원) 11.3%, SK(139조원) 8.7%, LG(123조원) 7.7% 순으로 매출 외형이 컸다. 이들 4대 그룹의 매출 규모만 해도 778조원을 넘었다. 이는 71개 그룹 매출의 48.5%로 절반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이어
포스코(005490)(60조원) 3.8%, 농협(59조원) 3.7%,
한화(000880)(56조6000억원), 3.5%, 롯데(56조4000억원) 3.5%,
GS(078930)(48조원) 3% 순으로 비중이 높았다.
71개 그룹의 작년 한 해 당기순이익은 55조원이다. 이는 2019년 57조원과 비교하면 2조원 남짓 줄어든 금액이다. 대기업 집단의 매출 외형과 함께 순익도 최근 1년 새 하락세로 돌아섰다.
이중 삼성은 20조7000억원 이상의 순익을 올려 조사 대상 전체 그룹의 37% 비중을 차지했다. 삼성이 올린 순익 중 75%는 삼성전자(15조6000억원) 1곳에서 담당했다.
그룹별 순익 2위는 SK가 차지했다. SK그룹의 작년 한 해 당기순익은 9조8000억원. 71개 그룹 전체 순익의 17.7% 수준이었다. 이어 현대차(3조9000억원) 7%, LG(3조2000억원) 5.8%, 농협(2조9000억원) 5.4%로 5%가 넘는 순익 비중을 차지했다. 한화(1조8000억원)와 포스코(1조 6000억원)도 각각 3.3%, 3% 순으로 순익 영향력을 보였다.
그룹 전체 매출 대비 당기순익이 차지하는 당기순익률로 보면 자산 순위 34위 넥슨이 가장 높았다. 이 넥슨의 작년 그룹 전체 매출은 3조 2000억원이 넘었는데, 당기순익은 1조 1000억원 이상이었다. 당기순순익률만 해도 35.6%로 71개 그룹 중 가장 높았다. 이외 엠디엠(26.5%),
KT&G(033780)(22.9%),
KCC(002380)(21.7%), IMM인베스트먼트(20.9%)도 순익률이 20%를 상회했다. 지난 해 71개 그룹 평균 당기순익률은 3.5%였다.
표/한국CXO연구소
71개 그룹 고용 중 4대 비중 43%
71개 그룹에서 고용된 전체 직원 수는 162만1958명으로 조사됐다. 이는 작년 말 고용보험에 가입된 인원 1411만명의 11.5% 수준이다. 국내 고용보험에 가입된 직장인 10명 중 1명은 71개 그룹에 소속된 셈이다. 그룹별 고용 현황으로 살펴보면 극과 극을 달렸다. 고용이 증가된 곳과 감소한 그룹이 갈렸기 때문이다.
이들 중 가장 많은 고용을 책임지고 있는 삼성전자의 직원 수는 작년 말 기준 26만2127명으로 파악됐다. 이는 전년도 26만886명 대비 1241명 증가한 숫자다.
현대차는 16만7839명으로 두 번째로 많은 직원을 책임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019년 대비 2020년에 증가한 현대차 그룹 직원 숫자는 삼성과 동일한 1241명으로 나타났다. LG도 2019년 15만2897명에서 2020년 15만3920명으로 그룹 고용 인력이 1년 새 1023명 많아졌다.
4대 그룹 중에서는 SK그룹 고용 증가가 눈에 띄었다. SK 직원 수는 2019년 11만544명에서 2020년에는 11만4481명으로 코로나19 상황에서도 고용 인력이 3937명 증가했다.
SK를 포함해 4대 그룹이 책임진 작년 직원 수는 69만8367명이었다. 이는 71개 그룹 전체 직원 수의 43%에 해당한다. 고용 인력은 2019년(69만925명) 대비 2020년에 7442명 증가했다.
다만 10대 그룹으로 범위를 넓혔을 때 고용 상황이 달라진다. 10대 그룹의 직원 수는 2019년 97만2945명에서 2020년 96만5258명으로 1년 새 7687명 감소세로 돌아섰다.
롯데그룹의 고용 한파 여파가 컸기 때문이다. 롯데는 2019년만 해도 그룹 전체 직원 수가 9만1748명이었는데 작년에는 8만4295명으로 1년 새 7453명이나 되는 일자리가 증발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외 한화(3435명↓), GS(2434명↓), 포스코(1490명↓) 등도 같은 기간 1000명 넘는 직원이 줄었다.
표/한국CXO연구소
10년간 삼성그룹 최고 매출 2013년
2010년부터 최근 10년 간 국내 1위 그룹인 삼성의 매출 변동 추이를 살펴보면 아직 350조원의 벽을 뚫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0년 당시 삼성그룹 계열사 전체 매출액은 254조원이었다. 이후 매출은 증가해 2013년에 333조8920억원 수준까지 높아졌다. 이때가 최근 10년 간 삼성 그룹이 올린 최고 매출 기록이다. 2015년에는 271조원대 수준까지 낮아졌다. 이후 지난해 다시 333조8310억원로 높아졌지만 2013년 매출 기록을 갱신하지는 못했다.
삼성의 고용 현황도 지난 2010년 22만7269명이던 것이 2013년에는 26만4928명으로 처음으로 26만명대를 돌파했다. 이듬해인 2014년에는 26만5330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러다 2016년과 2017년에는 24만명대로 다소 감소했다. 그러던 것이 2019년에 26만명대를 다시 회복했고, 작년에는 이전해보다 고용 규모가 1000명 정도 더 많아졌다. 하지만 2014년 고용 수준을 뛰어 넘지는 못했다.
삼성에 속한 계열사 수도 점차 감소세를 보였다. 2010년 87곳, 2011년 81곳, 2012년 76곳, 2013년 74곳, 2014년 67곳, 2015년 62곳으로 삼성에 속한 계열사 수가 매각 등으로 점차 줄었다. 지난 2019년 이후 삼성 그룹의 계열사 수는 59곳으로 60곳 미만을 유지하고 있는 중이다.
오일선 한국CXO연구소장은 “2021년 올 한 해 주요 그룹에게 주어진 가장 큰 과제 중 하나는 고용 확대로 응축될 것”이라며 “국내 기업 환경 여건 상 일반 제조업에서 고용을 크게 늘릴 수 있는 여건은 점점 줄고 있기 때문에 유통과 서비스 산업 등에서 얼마나 많은 직원을 더 많이 채용할 수 있을 지에 따라 올 한 해 대기업 집단의 고용 성적표도 크게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최유라 기자 cyoora17@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