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로 사회문제 해결"…소상공인 위한 '메타버스 마켓' 열린다

민관 '5G+ 전략위', 스마트스쿨·메타버스 마켓 등 5G 사례 확대
한국형 '5G PPP' 구성…특화망 활성화·5G망 정부 업무환경 조성

입력 : 2021-08-18 오후 2:00:00
5G+ 융합서비스 확산 전략. 사진/과기정통부
[뉴스토마토 김동현 기자] 정부가 5세대 이동통신(5G)을 활용해 교육·치안·의료 등 사회문제 해결에 필요한 비대면 환경을 조성한다. 코로나19로 사업 환경이 어려운 소상공인을 지원할 메타버스 마켓도 구성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8일 범부처 민·관 합동 '5G+ 전략위원회' 5차 회의를 열고 사회문제 해결을 목표로 한 5G 융합서비스 확산 전략을 발표했다. 전략위는 올해를 5G 융합생태계 원년으로 삼고, △스마트공장 △자율주행차 △실감콘텐츠 △디지털헬스케어 △스마트시티 등 5대 핵심서비스 중심으로 시범·실증사업을 추진 중이다. 여기에 일반이 쉽게 체감할 수 있는 사회문제 해결 분야를 선정해 5G를 접목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코로나19로 확산된 비대면 환경에 대비하기 위한 분야가 선정됐다. △초실감 비대면 교육 등 스마트스쿨 △산업현장 안전사고 예방 △재난대응 등 이동형 의료서비스 △치안 서비스 △코로나19 피해 경감을 위한 메타버스 마켓 등이다. 가상·증강현실(VR·AR) 교육 환경을 조성하거나 드론·로봇을 활용한 치안·의료 플랫폼을 구축하는 등 5G가 기반이 된다.
 
이중 메타버스 마켓은 소상공인 밀집지역을 메타버스 기반의 온라인 마켓으로 구현해 새로운 판로를 지원하기 위해 조성된다. 올해 본격적인 기획에 들어가 기술개발·실증 등을 거칠 예정이다. 이승원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소상공인을 위해 정책효과가 높은 사업을 추진하고자 한다. 하반기에 관련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라며 "앞으로 상인연합회나 대표시장 등과 접촉해 현장 의견을 반영해 계획을 수립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간의 5G 기술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새로운 민간 협력체도 구성한다. 유럽연합(EU)의 경우 산업별 협회·단체가 5G PPP(퍼블릭 프라이빗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도시·교통 등 분야별 실증로드맵을 마련해 5G 확산을 추진 중이다. 국내도 이러한 사례를 벤치마킹해 민간 중심의 '한국형 5G PPP'를 구성해 내년부터 활동한다. 이외에도 28㎓ 대역 시범·실증, 특화망 활성화, 5G 특화도시 구축 등이 추진된다. 당장 올해부터는 공공 수요 확대를 위한 방안으로 5G망을 활용한 정부 업무환경 조성, 정부지원 사업의 5G 우선적용 등이 진행되고 있다.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8일 '제5차 5G+ 전략위원회' 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과기정통부
 
정부는 이러한 5G 융합서비스 전략을 통해 현재 195곳의 5G+ 적용 현장과 94개의 5G+ 전문기업의 숫자를 오는 2026년까지 각각 3200곳과 1800여개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5G 분야 협력이 강조되는 등 격변하는 글로벌 경제 환경에서 5G는 국가경쟁력의 미래가 걸린 중요한 정책과제"라며 "정부는 세계를 선도하는 5G+ 융합서비스가 민간 중심으로 발굴·확산되도록 다각적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김동현 기자 esc@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김동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