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현주 기자] 한미 양국이 첨단 산업 분야의 기존 국장급 산업협력대화를 장관급으로 격상하는데 합의했다. 또 첨단산업, 공급망, 디지털, 수출통제 등 경제안보 이슈의 동맹국간 협력에도 공감대를 형성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방한을 계기로 21일 '한미 상무장관 회담'을 열고 공급망·산업 대화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과 지나 러몬보 미국 상무부 장관은 이날 글로벌 공급망 위기와 첨단기술 경쟁이 심화하고 기존의 글로벌 벨류체인(GVC)가 약화되는 상황에 공감했다. 특히 종합적인 위기는 어느 한 국가의 노력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만큼, 동맹국 사이 협력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한미 양국은 지난 수십년 동안 안보동맹 관계를 유지했고 한국은 첨단제조 능력, 미국은 기술 역량을 가진 만큼, 양국이 힘을 합하면 공급망 위기를 함께 대응할 수 있다고 판단, 상호 협력 강화에 의견을 함께했다.
아울러 우리 산업부와 미국 상무부는 각 국가를 대표해 공급망과 기술 협력 뿐만 아니라 IPEF, 수출 통제, 투자협력 등 주요 현안에 대해 논의한다.
양국 상무장관은 세계 경제의 핵심축 중 하나인 인도태 평양지역의 중요성에도 공감대를 형성했다. 앞으로 IPEF가 핵심품목의 공급망 안정화, 디지털 경제, 청정에너지와 탈탄소 등 광범위한 의제에 대한 협력의 구심점 역할이 될 수 있다는 기대감에서다.
이창양 장관은 "한국이 디지털, 공급망, 청정에너지 등에서 강점이 있는만큼 관련 논의에 주도적으로 참여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반도체 분야와 관련해서도 양국 협력이 강화된다.
이 장관은 "반도체는 공급망, 기술 및 경제안보협력의 핵심 분야로서 우리 기업들의 대미투자로 양국간 공급망 협력의 핵심축이 되고 있다"며 "상무부가 우리 투자기업에 대한 차별 없는 혜택은 물론 동반 진출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 등도 각별히 신경 써 줄 것"을 당부했다.
또 지난해 11월 출범한 '한미 반도체 파트너십 대화(SPD)'와 이번에 장관급으로 격상되는 '공급망·산업대화'도 적극 활용하는 등 반도체 공급망과 기술 협력 분야에 긴밀히 협의할 예정이다.
양국은 인공지능(AI) 반도체·전력반도체·첨단센서 등 시스템반도체 분야의 협력을 적극 발굴한다. 구체적인 협력 프로그램도 발전시켜나갈 계획이다.
이날 양국 장관은 첨단산업, 공급망, 디지털, 수출통제 등 경제 안보 이슈를 심도있게 논의하고 첨단 산업 분야에 대한 미래지향적 관계 구축을 위해 한미 공급망·산업 대화 MOU를 체결했다. 이는 기존 국장급으로 유지됐던 산업협력대화를 장관급으로 격상·확대하는 조치다.
MOU에 따라 산업부와 상무부는 연 1회 '한미 공급산업 대화'를 개최한다. 의제는 △디지털 경제 △첨단제조 및 공급망 회복력(반도체 등) △헬스케어 기술 △수출통제 등 산업협력·경제안보 이슈 등이다.
연구개발, 비즈니스 원활화 등 산업정책 전반에 대한 논의 등 양국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상호 호혜적인 사업 기회 창출도 모색한다.
이날 반도체·배터리·청정에너지·디지털 분야의 주요 기업이 참석한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도 진행했다. 라운드테이블에는 삼성전자 SK그룹, LG그룹, 현대차그룹, 퀄컴, 어플라이즈 머티어리얼즈, 램리서치, GM코리아, 구글 등 주요기업이 참석했다.
이 장관은 “올해는 한미 FTA가 발효 10주년을 맞이하는 해로 양국 관계가 교역·투자 협력을 넘어 공급망·기술 파트너십으로 발전하고 있는 시기에 양국 기업인들과 함께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하게 되어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이어 “글로벌 경제 환경이 변화하는 가운데 공급망 협력 강화 및 산업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부와 기업들간의 협력 및 공동 대응이 절실하며 특히 한국의 제조역량과 미국의 기술역량이 상호호혜적으로 결합된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방한을 계기로 21일 한미 상무장관 회담을 열고 공급망·산업 대화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사진은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대통령 모습. (사진=뉴시스)
세종-김현주 기자 kkhj@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