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캡, 주가 급등에 유증 발행가 상승…빚부터 갚자?

자금조달 계획은 청신호…차입금 상환 자금 사용계획
최대주주 참여율은 저조…"회사 빚 주주에 떠넘기기" 지적

입력 : 2022-05-31 오전 6:00:00
[뉴스토마토 박준형 기자] 자동차 부품 제조기업 에코캡(128540)이 4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에 나선다. 에코캡은 국내 주요 고객사였던 한국지엠의 군산공장 폐쇄와 쌍용차(003620) 침체로 타격을 입으면서 부채비율이 급격하게 악화한 바 있다. 에코캡은 이번 유증을 통해 새로운 매출처를 확보하고 부채비율을 줄이겠다는 계획이다.
 
다만 유상증자에 나서면서도 신사업 투자보다는 차입금 상환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점은 아쉬운 점이다. 특히 최근 정정된 투자설명서에서 추가로 확보가 가능해진 자금 대부분이 차입금상환에 사용되면서 회사의 빚을 기존 주주들에게 떠넘기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3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에코캡은 지난달 27일 유상장자 최종 발행가액을 7090원으로 확정했다. 이는 1차 발행가인 6260원 대비 13.26% 증가한 것으로, 최초 발행 예정가였던 7160원에 근접한 가격이다.
 
(그래픽=뉴스토마토)
 
에코캡의 유증 발행가가 상승은 최근 에코캡의 주가 급등에 따른 것이다. 대부분 유상증자의 경우 1차 발행가와 2차 발행가를 산정해 그중 낮을 가액을 확정가액으로 한다. 에코캡의 경우 1차 발행가와 2차 발행가는 각각 6260원, 8930원이였다. 예정대로라면 1~2차 발행가 중 낮은 가격인 6260원이 확정발행가로 결정됐어야 했지만, 에코캡의 확정발행가는 1차 발행가보다 높은 7090원으로 결정됐다.
 
이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덕분이다. 증권의 발행에 관한 규정에 따르면 1차, 2차 발행가 중 낮은 가격이 청약일전 3~5거래일 평균주가에 할인율(40%)을 적용한 가격보다 낮을 경우 확정 발행가를 높일 수 있다. 에코캡은 유상증자 확정발행가 산정을 앞두고 주가가 급등하면서 기준주가(1만1809원)에 40%의 할인율을 적용한 가격(7090원)이 1차 발행가보다 높아졌고, 결국 확정발행가도 상승했다.
 
유증 발행가의 극적 상승으로 에코캡은 최초 유증 공시 당시 목표로 했던 자금조달 규모(401억원)에 근접한 자금을 모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증 공시 이후 주가가 급락하면서 유증 규모도 350억원으로 줄었지만, 확정 발행가가 상승하면서 유증 규모도 397억원으로 늘었기 때문이다. 기준주가 대비 40%의 높은 할인율이 적용된 데다, 미청약 물량에 대해서는 대표주관사인 신한금융투자가 잔액인수를 진행해 자금 조달에도 무리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추가된 자금 대부분이 차입금 상환에 사용된다는 점은 아쉬운 점이다. 에코캡은 이번 유증에서 조달한 자금 대부분을 차입금 상황 등 채무 이행에 활용한다. 멕시코 공장 증축 및 원재료 매입을 위해 신한금융투자로부터 빌린 ‘브릿지론’ 160억원과 기업은행, 산업은행, 국민은행으로부터 빌린 차입금 75억원을 우선 상환할 예정이며, 멕시코 공장 설비 증축과 원재료 매입에 각각 88억원, 74억원을 사용할 예정이다.
 
1차 발행가 산정 당시와 비교해 차입금 상환 금액이 26억원 증가했으며, 원재료 매입 금액이 21억원 증가했다. 추가된 자금 절반 이상을 차입금 상환에 활용하기로 한 것인데, 이는 회사의 빚을 기존 주주와 일반에 떠넘기는 모양새가 될 수 있다.
 
이번 유증에서 에코캡 최대주주인 김창규 씨와 최영천 대표 등은 유증 공시 이후 입고된 신주인수권의 절반가량을 장외에 매각했으며, 나머지 신주인수권의 일부는 장내 매매를 통해 매각했다. 회사 빚을 갚기 위해 진행하는 유상증자에서 최대주주의 저조한 참여율은 투자자들에게 부정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최대주주의 유증 참여는 책임경영의 일환으로 통용된다”며 “최대주주와 경영진 참여율이 저조할 경우 경영진조차 투자를 기피한다는 부정적 인식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에코캡 관계자는 “유증 자금이 차입금 상환에 집중되긴 했지만, 운영자금도 많이 늘렸다”라며 “차입금 상환 역시 재무건전성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부분이 있는 만큼, 당장은 재무건전성 확보에 초점을 맞췄다”고 말했다. 이어 “멕시코 공장 증축에 따른 수주 확대 등의 경우 아직 확정된 사항이 없어 정확한 시기를 가늠하긴 힘들다”고 덧붙였다.
 
박준형 기자 dodwo90@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박준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