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나는 치매 환자…"전문가 교육·보상 시스템 필요"

치매극복의날…대한치매학회, 20주년 기자간담회 개최
"알츠하이머병에 의한 경도인지장애 구별 중요"
치매 예방 사업 확대·지역 의료 시스템 마련 필요

입력 : 2022-09-19 오후 5:06:27
대한치매학회는 19일 서울 중구 코리아나호텔에서 '치매 극복의 날, 대한치매학회 20주년 기자 간담회'를 개최했다. (사진=고은하 기자)
 
[뉴스토마토 고은하 기자] 치매 중증도가 증가할수록 관리 비용이 급증하면서 치매 관리의 미해결 과제 해결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대한치매학회는 19일 서울 중구 코리아나호텔에서 '치매 극복의 날, 대한치매학회 20주년 기념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학회에 따르면 국내 65세 이상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 수는 2010년부터 10년간 약 3.2배 증가해 지난해에는 67만명을 넘은 것으로 집계됐다. 치매의 전 단계라고 알려진 경도인지장애 환자도 꾸준히 증가해 254만명을 넘었다.
 
이날 행사에는 양동원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신경과 교수, 임재성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교수, 박기형 가천대학교 길병원 신경과 교수, 최호진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신경과 교수가 참석했다.
 
첫 번째 연사로 나선 양동원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신경과 교수는 "국내는 특히 알츠하이머 치매로 악화할 수 있는 경도인지장애부터 올바른 인식과 적극적인 예방 및 치료가 필요한데, 현재 경도인지장애는 질병 분류상 F코드로 묶여 경증질환으로 치부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중증화 가능성을 염두에 둔 보다 과학적인 분류체계부터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두 번째 연사로 나선 임재성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교수는 치매 관리의 필요성에 대해 발표했다. 치매 환자는 꾸준히 증가하는 반면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제는 2003년 이후 신규 승인된 치료제가 없어 미충족 수요가 큰 상황이다.
 
임재성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교수는 치매 관리의 필요성에 대해 발표했다. (사진=대한치매학회)
임재성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교수는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제의 미충족 수요를 해결하기 위해 2세대 항체 치료제가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며 "이 치료제들은 증상 완화가 아닌 병을 근본부터 치료하는 약으로 알츠 하이머병에 의한 경도인지장애 또는 초기 치매 환자들로 제한하고 있다"고 말했다.
 
임 교수는 "전문적인 진료로 향후 악화 가능성이 있는 '알츠하이머병에 의한 경도인지장애' 여부를 가려내는 것이 중요하다"며 "다만 경증 질환이라는 오해 때문에 적절한 진단검사와 전문의료진에 의한 추적관찰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경도인지장애는 우울증, 약물 부작용을 포함한 수많은 원인이 혼재돼 있다. 항체 치료제의 주요 치료 대상군 '알츠하이머병으로 인한 경도인지장애'는 전문적인 진료를 통해 진단 가능하다.
 
그는 "최근 알츠하이머 치매의 병적 과정을 좀 더 일찍 확인해 중증화를 막는 기존 전략이 최근 항체치료제의 개발로 변화되고 있다"며 "아밀로이드 혈액검사, 양전자단층촬영술(PET) 영상 검사 등을 실시하고 적절한 보험정책 마련을 위한 자문 등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경도인지장애 대국민 인식 조사 세션을 맡은 박기형 가천대학교 길병원 신경과 교수는 "대한치매학회가 한국갤럽과 함께 지난달 전국 17개 시도와 만 18세 이상의 남녀 100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경도인지장애에 대한 대국민 인식조사 결과 발표에서 응답자의 58%는 '경도인지장애라는 용어를 들어본 적 없다, 오늘 처음 들어본다'라고 답했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65%는 알츠하이머병에 의한 경도인지장애라는 용어를 들어본 적이 없고, 진단을 위해 검사가 필요하다는 부분도 88%가 필요한지 몰랐다"며 "이에 대한 인식 제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치매 관리 정책 제안 세션을 맡은 최호진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신경과 교수는 치매 관리의 미해결 과제와 해결 방안 제시에 대해 설명했다.
 
최호진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신경과 교수는 "치매의 중증도가 증가할수록 관리 비용이 급증하는 건 요양시설 입소, 합병증 증가로 인한 의료비와 간병 비용 증가 때문"이라고 말했다.
 
최호진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신경과 교수가 치매 관리의 미해결 과제와 해결 방안 제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대한치매학회)
 
최 교수는 "치매 분야가 갑자기 전 세계적인 화두가 되면서 관련 전문가 부족한 현실"이라며 "의료 시스템과 연구 시스템 내에서 치매 관련 전문가 교육 시스템 정비와 보상체계 구축 진행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치매 전문 의사·간호사 교육 전문성 강화 및 확대 및 교육 이수자에 대한 수가 보상 체계가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교수는 치매의 사회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선 '치매 관리 비용 증가를 늦추기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최 교수에 따르면 △치매 환자 증가를 억제하기 위한 치매 예방 사업 확대 △치매 진단 이후 치매 증상 지연을 위한 지역 의료 시스템 마련 △치매 환자 관리에 따른 환자와 보호자의 어려움을 담당할 수 있는 지역사회 의료 기관 및 복지기관 연계 시스템 마련을 꼽았다.
 
그는 치매 고위험군 고령층 지원 확대에 대해선 "인지 기능 저하 고령층을 위한 사회적 인프라 투자 확대, 치매 가족 지원 프로그램 확대, 공공기관의 치매 예방을 위한 인지훈련 프로그램 제공 확대가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고은하 기자 eunha@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고은하 기자
SNS 계정 : 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