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튬 수입 중국 의존도 점차 심각…1월~7월 64%

수입 1위…2020년 47%·2021년 59%에서 확대
무협 "대체 공급선 호주·아르헨티나 주목"

입력 : 2022-09-29 오후 2:17:22
[뉴스토마토 정해훈 기자] 배터리 제조 과정에서의 핵심 원자재인 리튬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는 가운데 중국에 대한 수입 의존도는 점차 심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발표한 '배터리 핵심 원자재 공급망 분석: 리튬'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3월 리튬 평균 가격은 톤당 7만4869달러(블룸버그 기준)로 최고가를 기록했고, 이달 26일 기준으로는 톤당 7만404달러로 높은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
 
리튬은 배터리 소재인 양극재의 핵심 원자재로 올해 3분기 삼원계 양극재(NCM 811 기준) 제조 원가의 약 65% 내외를 차지한다.
 
보고서는 "글로벌 리튬 시장은 소수 과점 구조로 원자재 기업의 판매 교섭력이 강해 리튬 가격 상승은 국내 배터리 업계의 소재 비용 부담으로 이어진다"며 "그러나 전기차 시장의 글로벌 경쟁 심화, 각국 완성차 업체와의 관계로 인해 완성 배터리 판매 가격을 인상하기는 어려운 구조"라고 설명했다.
 
특히 2020년부터 중국이 한국의 리튬 수입 대상국 1위에 오른 이후 대중국 리튬 수입 비중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대중국 리튬 수입 비중은 2020년 47%, 2021년 59%였던 것에서 올해는 1월부터 7월까지 64%로 늘었다. 
 
또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대중국 리튬 수입은 16억1500만달러로 지난해 2억8300만달러보다 471% 증가했다. 이는 국내 삼원계 배터리 생산에 필요한 수산화리튬 수입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올해 1월~7월 대중국 리튬 수입의 91%를 수산화리튬이 차지했으며, 수입액은 14억76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2억5900만달러와 비교해 469% 증가했다.
 
보고서는 국내에서 하이니켈 배터리 생산이 확대되고 있어 향후 대중국 수산화리튬 의존도는 더 심화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하이니켈 배터리는 코발트 사용량을 줄이고 에너지 밀도를 높이기 위해 니켈 함량을 높인 배터리를 지칭하고, 수산화리튬이 제조에 사용된다.
 
배터리 경쟁국인 일본은 리튬 관련 수입 품목이 다양하고, 수입선 다변화에 주력해 대중국 리튬 의존도는 50%대를 유지하고 있다. 일본의 리튬 수입은 수산화리튬(41%), 탄산리튬(46%), 스포듀민(12%)으로 다양하며, 리튬 수입의 44%를 칠레, 미국, 아르헨티나 등 중국 이외의 국가에서 조달하고 있다.
 
한국의 리튬 수입 중 수산화리튬의 비중은 69%로 일본(41%)보다 높고, 전체 리튬 수입의 중국 의존도도 64%로 일본(56%)보다 높다.
 
지난 6월22일 오후 서울 동작구 구로전화국 인근에 설치된 배터리 교환형 전기 오토바이 충전소. (사진=뉴시스)
 
보고서는 중국 내 기후 변화나 양국 간 정치적 갈등이 불거지면 국내 리튬 조달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올해 8월 가뭄과 정전으로 리튬 공급의 20% 이상을 담당하는 쓰촨성 공장이 폐쇄되면서 리튬 가격이 급등했고, 과거 중국은 일본과의 정치적 갈등 시 희토류를 전략적으로 이용하기도 했다. 
 
아울러 보고서는 미국의 배터리 공급망 역내 생산 요건과 EU 원자재 환경 기준 등이 강화되면서 중국산 원자재를 사용한 배터리는 국제 시장에서 외면될 가능성이 상존한다고 봤다. 
 
조상현 국제무역통상연구원 원장은 "중국에 의존하는 배터리 원자재 공급망은 한국 배터리 생태계의 위협 요인으로 리튬을 직접 채굴·제련하거나 공급선을 다변화하지 않을 경우 중국발 리스크에 취약해질 수 있다"며 "친환경 리튬 채굴·제련 산업을 정부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호주와 아르헨티나를 유망 대체 공급선으로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자원 안보 차원에서 해외 자원 개발 사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 논의에도 주도적으로 참여해 중국 이외 지역과의 공급망 구축에 힘써야 한다"고 주문했다.
 
정해훈 기자 ewigjung@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정해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