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제재 후 현지 중국산 통신장비 점유율 30%p 하락

5G 분야 공급망 우려로 2019년 화웨이 규제
2018년 49.2%→올해 상반기 19.0% 감소 추세

입력 : 2022-10-13 오후 2:13:14
[뉴스토마토 정해훈 기자] 화웨이 등에 대한 미국의 제재로 한때 절반 가까이에 이르던 중국산 통신장비의 점유율이 19%까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발표한 '미국 주도의 신(新)통상 체제와 통신(5G) 산업: 통상(通常)적이지 않은 통상(通商) Part 1'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산 통신장비의 미국 시장 점유율은 지난 2018년 49.2%에서 지난해 24.5%, 올해 상반기 19.0%로 떨어졌다.
 
미국은 지난 몇 년간 공급망, 동맹, 안보 등의 관점에서 자국 산업 패권을 공고히 하기 위해 중국을 견제하고 있으며, 가장 대표적인 산업 분야가 바로 5세대(5G) 이동통신이다. 특히 통신장비가 중국에 장악되면 공급망은 물론 정보 감청 리스크도 높을 것이란 판단하에 중국의 대표 IT 기업인 화웨이에 대해 전방위적인 제재를 가했다.
 
구체적으로 미국은 지난 2019년부터 화웨이로의 핵심 부품 수출과 중국산 통신장비 수입을 규제했다. 수출 규제는 수출 관리 규정(EAR: Export Administration Regulation) 개정으로 화웨이와 관계사 152개사를 목록에 올려 이들에 대한 핵심 부품 수출을 제한했다. 또 지난해 11월 발효된 보안장비법(Secure Equipment Act)을 통해 미국 내 중국산 통신장비 수입도 막았다.
 
중국의 전 세계 통신장비 수출은 2012년부터 지속해서 성장해 지난해 520억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달성했지만, 제재의 영향으로 미국 내 점유율이 크게 떨어져 결과적으로 전 세계 통신장비 수입 시장에서 중국의 비중이 하락했다. 전 세계 중국산 통신장비 점유율을 연도별로 보면 2012년 40.1%, 2015년 42.3%, 2018년 44.7%였던 것에서 지난해에는 39.2%로 감소했다.
 
또 스마트폰 시장에서 화웨이의 출하량은 2019년 17.6%로 세계 점유율 2위를 기록했지만, 미국의 제재 이후 지난해에는 3% 내외로 순위 밖으로 밀려났다. 화웨이를 겨냥한 반도체 수출 제한 조처로 화웨이 매출 비중이 높은 반도체 기업들의 실적 저하 우려가 있었으나, 한국·미국·대만의 주요 반도체 기업들의 매출은 2020년부터 오히려 늘었다.
 
지난 2020년 7월23일 중국 베이징의 한 화웨이 매장에서 마스크를 착용한 직원이 통화하고 있다. (사진=AP/뉴시스)
 
보고서는 현재까지 미국의 제재가 샤오미, 오포 등 다른 중국 기업의 점유율이 오른 것과 달리 우리 기업에는 뚜렷한 반사이익을 가져다주지는 못했다고 분석하면서도 향후 국외 진출 기회는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의 통신장비 수출은 2015년 13억7000만달러 규모에서 2019년 7억7000만달러로 감소했으나, 이후 다시 증가하면서 지난해 10억달러선까지 회복했다.
 
국내 통신장비 1차 대형 벤더인 삼성전자(005930)는 최근 미국(디시네트워크, 컴캐스트)뿐만 아니라 인도(에어텔), 캐나다(텔러스, 새스크텔), 뉴질랜드(스파크), 영국(보다폰) 등 국가로부터 수주가 확대되고 있다. 
 
최근 에릭슨, 노키아 등 외국 대형 벤더들이 중국 리스크를 회피하기 위해 국내 제조사에 납품을 의뢰하는 사례가 발생하는 등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국외 진출도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보고서는 효율화와 자유무역을 중시했던 기존의 경제 질서가 점차 퇴화하고, 탈세계화와 진영화 논리에 따라 공급망, 동맹, 안보를 중심으로 '중국 견제', '산업 패권 유지', '안보 기반 공고화'란 목적을 추구하는 미국 주도의 새로운 통상 질서를 '통상(通常)적이지 않은 통상(通商)'으로 정의했다.
 
조상현 국제무역통상연구원 원장은 "최근 미국이 주도하는 통상(通常)적이지 않은 통상(通商)질서가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통신(5G) 분야도 그중 하나"라면서 "우리 기업이 실익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통신장비·부품의 수출 기회를 최대한 확보하고, 스마트폰의 경우 경쟁 우위 요소를 창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산업 패권 확보를 위한 통상 질서 재편 움직임이 앞으로 반도체, 배터리, 인공지능(AI) 등 핵심 첨단 산업 분야에서 벌어질 통상 이슈를 예의주시하고, 대응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해훈 기자 ewigjung@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정해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