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GT 전성시대②)파이프라인 3300개…정부 지원 절실

"핵심 기술 보유 기업에 정책적 지원 뒷받침 필요"
"규제 개선 실용화 위한 대응 방안 마련해야"
"인프라와 사후의 약가·인허가에 대한 선제적 가이드라인 제시 수반"

입력 : 2022-11-29 오전 6:00:00
  
[뉴스토마토 고은하 기자] 전 세계적인 암 발병률 증가 및 노인 인구 증가에 따른 만성질환 증가로 세포·유전자치료제 개발 능력이 중요시되고 있다.
 
세포·유전자치료제(CGT, Cell and Gene therapy)가 연평균 50%의 성장률을 보이면서 국가적으로도 주요한 경쟁력이 되고 있다. 업계에선 정부가 핵심 기술 보유 기업에 정책적인 지원을 뒷받침할 시 선제적으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다만 기업 선정 시 명확한 기준과 규제 개선 실용화를 위한 대응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2월 기준 전 세계 세포·유전자치료제 파이프라인은 총 3300여개다. 국가신약개발재단이 발간한 '신약개발 글로벌 트렌드 분석-유전자·세포치료제' 보고서를 보면 빅파마 중 파이프라인을 가장 많이 보유한 곳은 다케다, 바이엘, 노바티스, 로슈, 아스텔라스 순이었다. 대다수 빅파마는 기술도입이나 인수합병 등 외부 도입으로 파이프라인을 확보했다. 
 
반면 국내 기업은 다른 기업의 품목을 위탁생산하거나 자체 개발을 선택하는 분위기다. 인수합병은 큰 금액이 드는 만큼 활발하지 않은 추세다. 
 
실제로 미국은 세포·유전자치료제 개발 고도화를 위해 연구 지원 기관을 설립하고 10억달러(약 1조4000억원) 상당의 예산 투입을 결정했다. 유럽연합(EU)은 유럽 혁신위원회(EIC)를 신설하고 오는 2027년까지 100억유로(약 14조원)을 투자해 세포·유전자치료제 등 고위험 연구를 지원할 계획이다.
 
정부는 지난달 28일 대통령 주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12대 국가전략기술 중 하나로 '첨단바이오'를 선정해 정책 및 투자를 집중할 세부 기술로 CGT를 꼽았다. 정부는 향후 중장기 5~10년 목표로 선도국 수준 CGT 파이프라인을 확보하겠단 계획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달 2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가과학기술 자문회의 제1회 전원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에 대해 오기환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장은 "국내 세포·유전자치료제 개발사는 대부분 소규모로 자본력이나 규모 차원에서 기술도입이나 인수합병전략은 힘든 상황"이라며 "관련 산업기반(자본, 인력, 제조시설 등)이 취약한 상황으로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산학연 연계 사업 협력 모델을 통한 투자적 지원이나 관련 규제개선 등 실용화를 위한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윤택 제약산업전략연구원 원장은 "미래 패러다임으로 CGT 쪽이 유망하고 미래의 항체 의약품 이후에 가장 핫하고 성장률이 높을 것으로 예측된다"며 "다만 글로벌 수준에서 볼 때 국내는 아직 초기 단계로 지원책 연구개발(R&D) 직접 투자 자금과 인프라 확충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에선 R&D와 관련해 여러 가지 고민과 함께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며 "재생의료재단이 만들어졌고 첨단재생의료법(첨생법)에 따른 R&D 예산도 대폭적으로 확대하는 추세이기 때문에 긍정적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정 원장은 인프라와 사후의 약가 및 인허가에 대해선 정부가 선제적인 가이드라인 제시 등이 수반될 필요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고은하 기자 eunha@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고은하 기자
SNS 계정 : 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