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 마스크 해제' 가시권…"'백신의 시간' 더 필요"

지난 5일 '하루 확진자' 1만6372명…석 달 만에 최고치
동절기 재유행 우려에도 추가 접종률 7.3% 불과
전문가들 "해제 필요하지만 추가접종 선행돼야"

입력 : 2022-12-09 오후 4:31:05
[뉴스토마토 윤민영 기자] 겨울철을 맞아 서울 코로나19 확산세가 짙어지고 있다. 정부가 내년부터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를 권고·자율로 전환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그 시기를 두고 신중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9일 서울시에 따르면 전날인 8일 신규 확진자는 1만1853명이다. 1주 전인 1일 1만487명보다 1366명이 많으며 요일 기준으로도 13주만에 최고치다. 이달 들어 서울 확진자는 지난 5일 1만6372명이 발생하며 지난 9월5일(1만8775명) 이후 석 달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서울시는 시민 대부분이 1·2차 백신을 맞은 이후 상당 시간이 지났고, 동절기 재유행 우려에 따라 추가 접종을 권고하고 있지만 실제 접종율은 저조하다. 코로나19 초기 바이러스와 오미크론 변이에 모두 대응할 수 있는 2가 백신 접종률은 현재 7.3%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시 관계자는 "최근 확진자 10명 중 1명은 재감염으로, 질병청은 재감염 사망·입원 위험이 각각 2배, 3배 높다는 연구결과를 내놨다"며 "실내 마스크 착용 해제는 정부 방침에 따르겠지만 시는 우선적으로 고령층을 중심으로 동절기 접종을 권고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근 대전시와 총남도가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를 발표하면서 정부는 부랴부랴 마스크 착용 의무화에 대한 조정 방향을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향후 실내 마스크 착용을 의무에서 자율 또는 권고사항으로 전환하되 고위험군이 이용하는 시설은 의무를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전문가들도 세계 추세와 치명률에 미루어볼 때 이르면 1월, 늦어도 3월에는 실내 마스크 착용 완화조치가 필요하다는 점을 인지하면서도 유행 상황에 따른 시기와 백신 접종 등 선제적인 대응이 뒷받침 돼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은 앞서 중대본 브리핑에서 "이번 주부터 다시 환자 증가 경향이 나타나고 있는데 마스크 착용의 감염 예방 효과는 논란의 여지 없이 명확하다"면서도 "이전과 같은 대규모 유행 가능성은 작다는 평가가 있지만 해제 시점을 명확히 결정하지 못한 이유는 현재 유행이 감소 추세에 이르렀다고 보지 않고 아직 고연령층의 2가 백신 접종에는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권병기 방대본 방역지원단장도 "실내 마스크를 해제한 해외 주요 국가에서도 의료시설, 사회복지지설 등에서는 착용을 의무화하고 있다"며 "전문가 논의를 통해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자영업자들도 실내 마스크 착용 해제와 관련해 촉각을 세우고 있다. 비말 노출이 많은 음식점 등에서는 이미 실내 마스크 착용이 의미가 없다는 의견과, 조금이라도 예방 효과가 있다는 주장으로 나뉜다.
 
서울 중구에서 분식집을 운영하는 한 자영업자는 "밖에서 안으로 들어올 때만 착용하고 바로 벗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냐"며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후 그냥 마스크를 안 쓰고 들어오는 손님도 많은데, 어차피 벗을 걸 굳이 착용하라고 하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카페를 운영하는 자영업자는 "한 자리에 앉아서 벗은 것과 사람들을 지나쳐가며 벗은 것은 차이가 있다"며 "입장을 하거나 화장실 등 밀폐된 공간에 갈 때는 손님들이 보통 마스크를 착용하는데, 일말의 예방효과가 있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오는 15일과 26일 전문가 토론회와 국가감염병 위기대응 자문위원회 등을 거쳐 올해 안으로 적용 시기와 범위 등 최종 조정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의무 해제 시점은 신규 확진자 수와 위중증·사망자 발생 추세, 방역대응 역량 등을 고려해 판단한다. 다만 구체적인 지표보다는 유행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한다는 계획이다.
 
지난달21일 서울 용산구 김내과의원에서 한 시민이 코로나19 오미크론 BA.4·5 변이 기반 화이자 2가 개량백신을 접종하고 있다.(사진=뉴시스)
 
윤민영 기자 min0@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윤민영 기자
SNS 계정 : 메일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