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매장 범죄, 절반이 10대…주말·심야에 집중"

에스원, 무인매장 절도 범죄 동향 분석

입력 : 2023-09-25 오후 1:58:52
[뉴스토마토 이지은 기자] 유통업계에서 널리 확산 중인 무인매장을 노리는 범죄가 주말과 심야 시간 집중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무인 매장을 노린 절도 범죄자는 10대가 가장 많았고, 주로 매장 안 현금을 노린 경우가 많았습니다. 
 
에스원(012750)은 무인매장이 본격적으로 확산한 2019년부터 올해 6월까지 무인매장 절도 범죄 동향을 분석한 결과 보고서를 25일 발표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범죄자 연령대는 10대가 가장 많았고, 무인 매장이 범죄에 가장 취약한 시간대는 주말과 심야 시간대였습니다. 범죄 피해 물품은 매장 내 현금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무인매장 절도범죄 발생 시간대별 비중. (자료=에스원)
 
절도 범죄 발생 관련, 연령대별 비중을 살펴보면 10대가 5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20대 36%, 30대 7%, 40대 5% 순이었습니다. 에스원은 "학교 주변 골목상권에 있는 무인매장이 동네 중고등학생들의 아지트가 되면서 절도 범죄로까지 이어지고 있다"며 "최근 소셜미디어에서 무인매장 범죄나 영업에 피해를 주는 행동들이 청소년기 특성상 자기 과시 또는 영웅심리로 묘사되고, 하나의 놀이처럼 번지면서 무인매장이 범죄에 무방비로 노출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전체 절도 범죄 건수 중 토요일과 일요일에 발생한 범죄 건수가 34%를 차지했습니다. 이 중에서도 일요일 범죄율이 24%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시간대별로는 자정~오전 6시인 심야시간대 범죄율이 전체 범죄 건수의 61%로 가장 높았고 오전 시간대(오전 6~12시)가 27%로 뒤를 이었습니다.
 
무인매장 절도 범죄는 주로 현금(91%)을 노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범인들은 주로 장도리, 망치, 드라이버 등을 활용해 키오스크를 파손해 현금을 빼갔는데, 키오스크 또는 동전교환기를 통째로 들고 도주(9%) 하는 등 수법이 대담해지고 있다고 에스원은 분석했습니다.
 
업종별 무인매장 절도 범죄 발생 현황을 보면 무인 빨래방(33%)과 무인 사진관(33%)이 가장 높았고, 무인 아이스크림(17%), 인형 뽑기방(17%)이 뒤를 이었습니다. 
 
에스원 안심24 서비스. (사진=에스원)
 
무인매장 증가와 함께 늘어난 무인매장 절도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에스원은 영상 보안부터 긴급출동, 키오스크 감시가 가능한 무인매장 전용 솔루션 에스원 안심24를 운영 중입니다. 키오스크가 강제로 개방되거나 파손되면 에스원에서 점주에게 알리고 에스원 직원이 긴급출동해 대응합니다. 에스원은 "범죄 예방은 물론 점주들의 운영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무인매장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선보이겠다"고 말했습니다.  
 
이지은 기자 jieunee@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이지은 기자
SNS 계정 : 메일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