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도전장' 디지털 해상산업…디지털 선박 등 '자금·세제' 지원

선박 디지털화 등급 기준 마련…스타트업 200억 지원
디지털 핵심기술 42개·상용화 서비스 39개 개발 계획

입력 : 2023-10-05 오후 2:57:45
[뉴스토마토 김유진 기자] 해양당국이 글로벌 경쟁력의 해양 분야 강소 수출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지능항해장비 등 40개 이상의 디지털 핵심기술 확보에 주력합니다. 특히 '디지털 해상교통정보산업' 발전에 집중하는 등 6조5000억원 규모의 부가가치 창출을 목표로 잡았습니다.
 
디지털 해상교통정보 창업기업과 중소기업 자금 지원은 '해양신산업 펀드'를 활용하기로 했습니다. 기업의 연구·인력개발비에 대해서는 30~40% 세액공제 혜택을 주기로 했습니다. 신규 디지털 선박 건조와 관련해서는 최대 1.0%포인트, 최대 2.4%포인트의 정책·민간금융의 금리로 우대합니다.
 
해양수산부는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관으로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를 통해 '디지털 해상교통정보산업 육성전략'을 발표했습니다.
 
디지털 해상교통정보산업이란 선박에 정보통신기술(ICT)을 결합해 운영·관리하는 산업입니다. 정부는 200억원의 해양신산업 펀드를 활용해 유망한 디지털 해양교통정보 창업기업과 중소기업에 자금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오는 2027년까지 2300억원 규모의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해 지능항해장비 등 42개의 디지털 핵심기술과 선박 탄소배출량 저감 서비스 등 상용화서비스 39개를 개발하겠다는 계획입니다.
 
해양수산부는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관으로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를 통해 '디지털 해상교통정보산업 육성전략'을 발표했습니다. (출처=해양수산부)
 
국제 경쟁력 확보를 위한 조치로는 국제항로에서의 다국적 실증과 해외인증 취득비용 등을 지원합니다. 또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을 활용해 잠재시장인 개발도상국으로의 진출 기회도 제공합니다. 
 
조승환 해수부 장관은 "현재 미국 및 유럽연합 국가와 함께 실증을 같이 하고 있는 분야가 있다"며 "상대국의 인증을 상호 간에 인정할 수 있도록 하는 협정을 체결함으로써 인증국 수출 절차를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정부 중심으로 운용 중인 '바다내비' 서비스는 개방형 공간정보체계(오픈플랫폼)으로 제공하는 등 민간기업이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합니다. 디지털 선박 건조의 수요 창출을 위해서는 정책·민간금융권 금리우대도 제공할 계획입니다.
 
신규 건조하는 디지털 선박에 대해서는 정책금융(최대 1.0%포인트) 및 민간금융(최대 2.4%포인트) 금리 우대 혜택을 제공합니다.
 
조승환 장관은 "우리나라 해운·조산산업이 가진 경쟁력을 바탕으로 디지털 해상교통정보 분야의 세계적인 기업 육성을 통해 우리나라의 수출과 경제 성장을 굳건히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은 5일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디치털 해상교통정보산업' 육성을 위해 23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진은 디지털 해양 브리핑하는 조승환 해수부 장관. (사진=뉴시스)
 
세종=김유진 기자 yu@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김유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