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미콘 '우선납품제' 도입…독점 공급구조도 손질

중요 관급공사 레미콘 현장에 '우선 납품제' 시행
불공정 경쟁 개선…부실납품 등 품질도 제고
국민생활안전물자 품질관리 강화…저품질 물자 근절

입력 : 2023-10-16 오후 4:00:44
[뉴스토마토 조용훈 기자] 정부가 주요 관급현장에서의 레미콘 수급 차질을 방지하기 위해 중요현장에 대한 '우선 납품제'를 도입합니다. 또 지역별 조합들의 수주비중은 90%로 제한하고 조합중심의 독점적 공급구조도 개선합니다. 이와 함께 연간 196조원에 달하는 공공조달 시장의 저품질 물자를 근절하기 위해 안전관리물자 대상과 품질검사도 대폭 강화합니다.
 
조달청은 16일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를 통해 이같은 내용의 '주요 조달물자 품질관리 및 공급안정성 강화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16일 조달청은 주요 관급현장에서의 레미콘 수급 차질을 방지하기 위한 레미콘 '우선 납품제'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은 인천 남동구의 한 레미콘 공장.(사진=뉴시스)
 
조달 강화안을 보면 레미콘 수급 차질의 우려가 있는 경우 업계·수요기관 등이 함께 '레미콘 수급협의체'를 통해 중요 관급현장에 우선 납품하는 우선 납품제를 도입합니다. 그간 업계에서는 시멘트 부족으로 레미콘 생산·공급에 차질 발생 때 수주 물량이 확정된 관급보다 가격 등이 유리한 민수 우선공급 경향이 있었습니다.
 
16일 조달청이 레미톤 시장의 공정한 시장 경쟁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중견기업 등 대체공급자의 시장참여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은 경기 의왕시 한 시멘트 출하공장.(사진=뉴시스)
 
중견기업 등 대체공급자의 시장참여도 확대합니다. 이를 위해 개별 납품건별 물량 관리는 전체물량 총량 관리로 전환하는 등 중소·중견기업 간 공정한 경쟁을 보장하기로 했습니다.
 
현재 수도권, 충남권의 경우 관련 법령에 따라 전체 물량의 80%는 중소기업에게 구매하고 있습니다. 나머지 20% 이내에서만 중견기업 등 제품 구매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전체물량 비중 고려 없이 개별 납품 요구 시에도 80% 이상을 중소기업에게 구매하도록 제한하면서 '중소기업 물량 쏠림' 문제가 있었습니다.
 
레미콘 공급사인 조합구성원에 대한 관리도 강화합니다. 이에 따라 조달청은 납품지체, 품질불량 등 계약조건 위반 시 개별 레미콘 공급사에 납품중단 등 불이익 조치가 가능하고 계약이행성실도 평가대상을 개별 레미콘 공급사로 확대한다는 방침입니다.
 
원자재의 품질관리도 한층 강화합니다.
 
조달청 관계자는 "현재 레미콘에 대한 품질점검 등은 실시하고 있으나 레미콘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시멘트·골재 등 원자재 사용내역에 대한 점검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레미콘 1만 세제곱미터(㎥) 이상 납품 시 '콘크리트납품서 및 배합표'의 수요기관 제출을 의무화해 원자재 확인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와 함께 수도용 물자도 안전관리물자로 추가 확대합니다. 현행 안전관리물자는 총 125개 품명으로 이 중 수질위생 관련 안전관리물자는 총 8개 품명만 지정된 상태입니다.
 
이에 따라 피복강관 등 관련 물자 19개는 안전관리물자로 추가 지정하고 품질관리를 강화합니다. 조달청은 향후 품질관리 필요성 및 조달업계 부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안전관리물자 단계적 확대한다는 방침입니다.
 
전문검사기관에 의한 납품검사도 확대합니다. 기존 납품금액 3억원을 충족할 경우 전문검사기관을 통해 간헐적으로 해오던 납품검사가 납품금액 2억원까지 납품검사를 실시하도록 개선하는 식입니다.
 
이 밖에 안전관리물자 품질검사에서 치명결함 또는 유해물질 초과 검출 때 거래정지를 가중 조치하는 등 부실 납품에 대한 제재도 강화할 예정입니다.
 
16일 조달청은 공공조달 시장의 저품질 조달물자 공급을 근절하기 위해 주요 조달물자의 품질관리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은 조달청이 입주한 정부대전청사.(사진=뉴시스)
 
세종=조용훈 기자 joyonghun@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조용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