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소희 기자] 정부가 2030년까지 로봇산업 시장 규모를 20조원 이상으로 육성합니다. 특히 제조업·물류·복지·안전 등 전 산업 영역에는 로봇 100만대 이상을 보급할 계획입니다.
로봇산업은 생산연령인구 감소 등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성장잠재력을 높이겠다는 방침입니다.
14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첨단로봇 산업 비전과 전략'을 보면 산업부는 'K-로봇경제'를 실현하기 위해 3대 핵심전략을 추진합니다. 현행 5조6000억원 수준인 로봇산업규모는 2030년까지 20조원 이상으로 확대하겠다는 목표입니다.
민관합동으로는 3조원 이상을 투자해 기술, 인력, 기업 등의 경쟁력을 강화합니다. 첨단로봇 산업을 이끌어갈 전문인력은 미래차, 드론 등 모빌리티 산업과 연계해 1만5000명 이상을 양성합니다. 매출액 1000억원 이상의 지능형 로봇 전문기업도 30개 이상 육성합니다.
14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첨단로봇 산업 비전과 전략'을 발표했다. 사진은 대한민국 소프트웨어대전 모습. (사진=뉴시스)
또 로봇은 전 산업 영역으로 2030년까지 100만대 이상을 보급할 예정입니다. 보급된 100만대 중 68만대는 산업 용도로 활용합니다. 나머지 32만대는 사회적 용도로 운영할 예정입니다.
특히 산업 용도로 보급할 68만대는 제조업·농업·물류·소상공인 등에 활용할 전망입니다. 농업 분야에는 첨단 무인화 농업생산을 통한 일손 부족 문제에 방점을 찍고 있습니다. 소상공인들에게는 조리·서빙 로봇 등을 지원해 영세자영업자들의 구인난을 해소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더욱이 사회적 용도로 활용하는 32만대는 국방·사회안전·재난대응 목적으로 운영합니다. 국방분야에서는 군사용 순찰 등을 도입해 병력 부족 문제를 해결할 계획입니다. 재난대응 분야에 대해서는 인명 탐색·화재진압 등 소방로봇을 보급합니다.
로봇산업 변화에 맞게 지원할 수 있도록 지능형로봇법도 개편합니다. 국가로봇테스트필드에도 2000억원을 투입할 예정입니다.
방문규 산업부 장관은 “로봇산업이 글로벌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하고 새로운 성장동력으로서 'K-로봇경제'를 실현할 수 있도록 투자 확대와 해외 신시장 창출 등을 위해 범정부적으로 정책 역량을 결집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통계청 조사를 보면 급격한 인구감소와 고령화 가속화로 15~64세의 생산연령인구는 2022년 71.1%(3674만명)에서 2072년 45.8%(1658만명)까지 급감할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이는 현 생산연령 인구수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입니다.
14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첨단로봇 산업 비전과 전략'을 발표했다. 사진은 대한민국 소프트웨어대전 모습. (사진=뉴시스)
세종=김소희 기자 shk3296@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