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AI 서울 정상회의 주재…"AI 안전연구소 설립 추진"

'안전·혁신·포용 AI를 위한 서울 선언' 채택
삼성·네이버·구글 등 16개 AI 개발사도 서명

입력 : 2024-05-21 오후 11:34:54
[뉴스토마토 유지웅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AI(인공지능) 서울 정상회의에서 "대한민국도 AI 안전연구소 설립을 추진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인공지능(AI) 서울 정상회의'에서 서울선언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윤 대통령은 이날 개회사에서 "AI의 악영향을 최소화하고, 사회의 안녕과 민주주의가 훼손되지 않도록 AI의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며 "영국·미국 등 주요국의 AI 안전연구소 설립 노력을 환영하며, 대한민국도 글로벌 AI 안전성 강화를 위한 네트워크에 동참하겠다"면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AI 서울 정상회의는 지난해 11월 영국에 이어 2번째로 열리는 회의인데요. 올해 주요 논점은 안전성·혁신·포용성 등 'AI 거버넌스 3원칙'이었습니다. 리시 수낵 영국 총리와 공동 주최한 이날 회의에 윤 대통령은 청와대 영빈관에서 화상으로 참석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AI 혁신'에 대해 "AI가 가진 커다란 잠재력을 구현하기 위해선, 자유롭고 개방적인 연구개발로 AI 혁신을 추구해야 한다"며 "이러한 AI 혁신은 글로벌 경제에 새로운 성장동력을 부여하고 환경오염 등 전 지구적 난제를 풀어가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AI 포용'에 관해서 "거주지역과 소득 수준에 관계 없이 누구나 AI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포용성을 확보하는 것도 중요하다"며 "미래 세대에게 혁신의 혜택이 이어지도록 지속 가능한 AI 발전이 이뤄져야 한다"고 언급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생성형 AI 등장이 인류 사회에 막대한 파급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며 "AI 영향력이 커지는 만큼 딥페이크를 통한 가짜뉴스와 디지털 격차 등 부작용 우려도 커지고 있다"고 짚었습니다. 
 
그러면서 "디지털은 국경을 넘어 초연결성을 지닌 만큼 글로벌 차원의 디지털 규범이 만들어져야 한다"며 "오늘 'AI 서울 정상회의'는 그간의 노력을 결집해 AI 규범과 거버넌스를 진전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발언했습니다.
 
한편, 이날부터 이틀간 열리는 AI 서울 정상회의에는 G7(주요 7개국), 싱가포르, 호주 정상이 초청됐습니다. UN, EU, OECD 등 국제기구 수장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에릭 슈미트 전 구글 CEO,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이해진 네이버 창립자 등도 화상으로 참석했습니다. 회의 정상세션 참가자들은 '안전하고 혁신적이며 포용적인 AI를 위한 서울 선언'을 채택했습니다.
 
유지웅 기자 wiseman@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유지웅 기자
SNS 계정 : 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