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KT '인력 재배치'에 노조 본사 앞으로

KT 1노조 광화문 본사서 총력투쟁 결의
임직원 3분의1이 재배치·구조조정 대상
사측, 22일부터 특별희망퇴직 접수 시작

입력 : 2024-10-16 오후 4:50:21
[뉴스토마토 오세은 기자] KT(030200)가 역대 세 번째 규모의 구조조정에 나섭니다. KT는 AI 기업 전환을 위한 인력 재배치라고 설명하지만 노동조합은 일방적인 조직 개편이라며 즉각 반발했습니다. 인력 재배치 및 구조조정 대상은 KT 전체 임직원 3분의1에 해당하는 5700여명입니다.
 
16일 KT 1노조 간부 300명은 서울 광화문 KT 이스트 사옥에 모여 구조조정에 대한 투쟁 결의에 나섰습니다. 노조는 이날 “일방적인 조직 개편을 중단하라”고 외쳤습니다. KT는 전날 15일 오전 이사회를 열고 네트워크 운용과 유지·보수를 전담하는 신설 법인 2곳(KT OPS·KT P&M) 설립에 대한 안건을 의결했습니다. 두 곳 모두 KT가 지분 100%를 보유하는 자회사로 설립됩니다.
 
신설되는 법인으로 전출되는 인력은 5700명이 될 전망입니다. KT OPS의 경우 기존 관련 직무 담당 4400명의 77%에 해당하는 3400명을, KT P&M은 기존 420명의 90%에 달하는 380명을 선발해 전출할 예정입니다. 또 상권·법인가치영업 및 현장지원업무는 비효율 사업으로 판단해 폐지할 계획입니다. 전출을 원하지 않는 인력은 희망퇴직을 실시합니다. 회사는 오는 22일부터 다음 달 4일까지 퇴직 접수를 받을 예정입니다. 
 
16일 서울 광화문 KT 이스트 사옥 앞에서 KT 1노조 집행부 300여명이 전날 KT 이사회에서 의결된 인력 재배치를 반대하는 총력투쟁 결의에 나섰다. (사진=뉴스토마토)
 
전출 직원들에게는 기존 기본급의 50~70%만 지급하는 것으로 전해집니다. 기존 기본급과의 차액은 정년 잔여 기간을 반영해 일시금으로 주기로 했지만 처우가 악화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최민주 KT 1노조 교육국장은 “신설 자회사의 운영 방향이 불확실한 만큼 현재 조건에서의 최소 보장과 추가 격려금 등의 안을 요구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노조 측은 인력 재배치가 갑작스러운 사측의 일방적인 태도로 진행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지난 3월 취임한 김영섭 KT 대표는 첫 주주총회에서 “인위적인 대규모 구조조정은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후 내부적으로도 수개월간 인력 재배치에 대한 움직임이 없었습니다. 그러다 최근 AI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는 산업 환경을 고려해 조직 개편이 불가피하다는 이유를 들어 회사가 행동에 나선 겁니다.
 
이번 구조조정은 2009년 이석채 회장, 2014년 황창규 회장 때 이어 세 번째입니다. 2009년, 2014년 각각 5992명, 8304명 인력이 조정됐습니다. 
 
인력 조정 이후 임직원수는 최근 5년 새 지속 하락하고 있습니다. 반면, 같은 기간 연결 매출은 지속 상승하고 있습니다. 2019년 2만3372명이었던 임직원은 지속 하락해 지난해 1만9737명으로 줄었습니다. 같은 기간 매출은 2019년에서 2020년 한 차례 매출이 하락한 것을 제외한 이후에는 계속해서 상승, 작년에는 역대 최대 매출인 26조387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날 KT새노조는 국회에서 이사회 안건을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기간통신망 분야 필수 업무를 자회사로 이관시키는 행태”라며 “비용절감을 위해 인프라 전문 직군 일자리를 값싼 일자리로 대체하겠다는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실제로 KT가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밝힌 AI 분야 투자 계획은 약 10조원에 달하는 규모입니다. KT는 작년 6월에 5년간 AI 분야에 7조 투자 계획을 밝혔으며, 지난 10일 기자간담회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MS)와 AI 분야에 공동으로 2조4000억원을 투자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KT가 2029년까지 AI 분야에 투자하겠다는 금액 약 10조원은 회사 현금성 자산 3조7867억원(8월 반기보고서)의 3배에 달하는 규모입니다. KT 관계자는 “작년 것과 올해 투자 규모는 별도지만 투자 규모가 무리한 수준은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또 노조의 반발과 관련, KT 측은 "'구조조정'하면 연상되는 인위적이고 강압적인 인력 감축이 아니라, 효율화가 필요한 일부 직무 및 인력의 재배치를 추진하는 것"이라며 "고용 안정성에 대해서도 심도 깊게 고민해 직원 선택 기반의 직무와 인력 재배치를 추진하고 합리적인 수준의 처우와 보상 및 고용연장 기회가 주어지도록 할 계획"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래픽=뉴스토마토)
  
오세은 기자 ose@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오세은 기자
SNS 계정 : 메일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