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표진수 기자] 미국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이 임박하면서 국내 산업계에서도 생존 전략 마련에 분주합니다. 그간 미국 시장에서 호실적을 올렸던 자동차 산업과 배터리 산업의 지형에도 큰 변화가 예상되고 있는데요. 특히 트럼프 행정부 2기가 강력한 관세조치를 예고하고 있는 만큼, 국내 자동차 업계에서는 수출 대신 미국 현지 생산 강화에 나섰고, 배터리 업계는 보조금 의존에서 벗어나기 위한 포트폴리오 다변화 등의 계획을 세웠습니다.
20일(현지시간) 취임하는 트럼프 대통령은 당선인 시절부터 △인플레이션 종식 △기후 규제 완화 △세금 감면 △법인세 인하 △수입품 10%·중국산 60% 추가 관세를 강조해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직후 첫 행정명령은 관세 부과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관세는 의회의 승인 없이 대통령 권한으로 부과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부과되는 관세에 따라 한국자동차 산업도 큰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산업연구원이 지난해 12월 발표한 '트럼프 보편관세의 효과 분석' 보고서를 보면,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부과에 따른 우리나라의 대미 수출 총 감소 영향은 9.3%~13.1% 수준일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대미 수출비중이 28.82%로 높은 자동차 산업의 경우, 수출감소 효과가 시나리오에 따라 5.9%에서 13.6%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수출 감소액은 3조3300억원에서 5조8900억원, 부가가치 감소효과는 2조1000억원에서 3조71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우려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현대차와 기아는 수출 대신 현지화를 강화하는 전략을 구상하고 있습니다. 현대차와 기아는 미국에서 판매하고 있는 상당수의 차량을 한국 공장에서 조달해왔지만, 앞으로는 관세 부담을 피하기 위해 미국 현지생산을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할 전망입니다.
현지화의 거점은 미국 조지아주에 지은 새 공장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 10월부터 시험가동 중인 이 공장은 전기차 전용생산을 목적으로 세워졌습니다. 하지만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현상에 이어, 미국 내 전기차 보조금이 줄어들 가능성이 커지면서 하이브리드차 생산으로 전략 변경이 검토되고 있습니다.
트럼프 당선인이 기후변화 대응 등이 포함된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의 폐지 또는 전기차 보조금 축소 등을 내걸면서 국내 배터리 업체들도 상황을 주시하고 있습니다. IRA와 관련해 보조금 수혜 규모가 감소하면 배터리 수요가 줄고, 나아가 수익성까지 악화될 여지가 있기 때문입니다. IRA 폐지와 함께 배터리 생산 기업이 받는 혜택인 첨단제조 생산 세액공제(AMPC) 축소 가능성도 논의되고 있습니다. AMPC는 미국 내에서 생산된 배터리 1kWh당 최대 45달러의 세액공제를 제공하는 제도로, 국내 배터리 업계는 이 혜택을 받아 사업 적자를 피해 왔습니다.
이에 국내 배터리 기업들은 전기차 외에 에너지저장장치(ESS)로 전략 수정을 꾀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ESS는 기본 구조가 리튬 이온 배터리기 때문에, 전기차용 배터리와 개발·제조 공정에 큰 차이가 없어 배터리 기업들이 수익처를 다변화하기에 상대적으로 쉽습니다. 가장 적극적인 곳은 LG에너지솔루션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최근 미국 엑셀시오 에너지 캐피탈과 7.5GWh 규모의 ESS 공급계약을 체결했습니다. 2026년 공급 시작 예정이며 북미 현지에서 생산·판매될 예정입니다.
표진수 기자 realwater@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