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여론조사)③국론 분열 책임, 51.1% "여권" 대 47.6% "야권"

40·50대 "여권 책임", 30대·70세 이상 "야권 책임"
대선 승패 가를 서울·충청·PK·중도층 '팽팽'

입력 : 2025-02-06 오전 6:00:00
[뉴스토마토 박주용 기자] 윤석열씨 탄핵 이후 국론 분열과 관련한 책임에 대해 여권과 야권을 지목한 응답이 오차범위 안에서 팽팽히 맞섰습니다. 국민 절반 이상은 국론 분열의 책임이 여권에 있다고 답한 가운데 야권에 책임이 있다는 응답도 40%대 후반으로 적지 않았습니다.
 
6일 공표된 <미디어토마토> 156차 정기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 탄핵을 둘러싸고 국론이 분열된 데 대한 책임이 어디에 있는지' 묻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의 51.1%는 "국민의힘을 비롯한 여권에 책임이 더 있다"고 답했습니다. 반면 47.6%는 "민주당을 비롯한 야권에 책임이 더 있다"고 했습니다. 두 응답의 격차는 3.5%포인트에 불과했습니다. '잘 모르겠다'며 응답을 유보한 층은 1.3%로 집계됐습니다.
 
이번 조사는 <뉴스토마토> 의뢰로 지난 3일부터 4일까지 이틀간 만 18세 이상 전국 성인남녀 1035명을 대상으로 실시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0%포인트입니다. ARS(RDD) 무선전화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응답률은 7.5%로 집계됐습니다.
 
(그래픽=뉴스토마토)
 
국론 분열 책임, 세대별·지역별 '두렷'
 
조사 결과를 연령별로 보면 30대와 70세 이상에선 국론 분열에 "야권의 책임이 더 있다"는 의견이 우세했습니다. 특히 이념적 성향이 덜한 30대의 경우 '야권 책임' 56.7% 대 '여권 책임' 42.7%로, '야권 책임'이란 응답이 절반을 훌쩍 넘었습니다. 70세 이상은 '야권 책임' 69.6% 대 '여권 책임' 28.9%로, 격차가 더욱 벌어졌습니다.
 
반면 민주당의 세대별 기반인 40대와 50대에선 국론 분열에 "여권의 책임이 더 있다"고 했습니다. 40대 '여권 책임' 64.4% 대 '야권 책임' 34.6%, 50대 '여권 책임' 62.2% 대 '야권 책임' 35.5%였습니다. 60대는 '여권 책임' 50.0% 대 '야권 책임' 49.6%로, 팽팽했습니다. 20대는 '여권 책임' 53.7% 대 '야권 책임' 44.6%였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과 충청, 부산·울산·경남(PK)의 경우 국론 분열에 대한 책임이 어디에 있는지를 놓고 여권과 야권을 지목한 응답이 비슷했습니다. 이들 세 지역은 대선의 승패를 좌우할 전략적 요충지로 꼽힙니다. 서울 '여권 책임' 50.6% 대 '야권 책임' 46.1%, 대전·충청·세종 '야권 책임' 50.5% 대 '여권 책임' 48.7%, 부산·울산·경남 '야권 책임' 49.8% 대 '여권 책임' 49.1%로 조사됐습니다.
 
국민의힘과 민주당의 핵심 지지 기반인 대구·경북(TK)과 광주·전라에선 국론 분열에 대한 여야의 책임 공방을 놓고 극명하게 다른 결과들이 도출되었습니다. 대구·경북은 60% 이상이 "야권에 책임이 더 있다"고 했고, 광주·전라에선 60% 이상이 "여권에 책임이 더 있다"고 했습니다. 대구·경북 '야권 책임' 65.0% 대 '여권 책임' 34.1%, 광주·전라 '여권 책임' 63.6% 대 '야권 책임' 35.5%였습니다. 강원·제주는 '여권 책임' 60.5% 대 '야권 책임' 38.2%로, 여권에 책임을 물은 응답이 더 높았습니다. 경기·인천은 '여권 책임' 53.3% 대 '야권 책임' 46.2%였습니다.
 
우원식 국회의장이 지난달 17일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윤석열 정부의 내란·외환 행위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 임명 등에 관한 법률안 수정안 가결 선언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책임론 놓고 진영별 의견차 극명
 
정치성향별로 보면 민심의 바로미터인 중도층에서도 국론 분열에 대한 책임 문제를 놓고 두 응답이 팽팽하게 맞섰습니다. 중도층 '여권 책임' 51.9% 대 '야권 책임' 46.9%로, 두 응답의 격차는 오차범위 내였습니다. 보수층 '야권 책임' 74.8% 대 '여권 책임' 23.9%, 진보층 '여권 책임' 89.8% 대 '야권 책임' 8.8%로, 진영별로 의견이 극명하게 엇갈렸습니다. 지지 정당별로 보면 개혁신당 지지층에서 '여권 책임' 60.4% 대 '야권 책임' 27.2%로, 다수가 여권의 책임으로 바라봤습니다.
 
한편 이번 조사는 2025년 1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를 기준으로 성별·연령별·지역별 가중값을 산출했고 셀가중을 적용했습니다. 그 밖의 자세한 조사 개요와 결과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나 서치통 홈페이지(www.searchtong.com)를 참조하면 됩니다.
 
박주용 기자 rukaoa@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박주용 기자
SNS 계정 : 메일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