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신대성 기자] 박영우
대유(290380)위니아(071460)그룹 회장의 1심 선고를 앞두고, 노동조합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환노위)가 박 회장이 법적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며 법원의 엄중한 판결을 요청했습니다.
"변제 의지 의심스러워"…국회 환노위 강력 비판
환노위와 위니아 가전3사 노조는 13일 '대유그룹 박영우 회장 엄벌 촉구' 기자회견을 열었습니다.
김주영 민주당 의원(환노위 간사)은 "지난달 21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는 대유위니아그룹의 임금체불 청문회를 열었지만, 실질적 책임자인 박영우 회장은 재판과 수사를 이유로 불출석했다"며 "과연 변제 의지가 있는지 의심스럽다"고 지적했습니다.
대유그룹은 지난 3년간 2015명의 노동자에게 1200억원이 넘는 임금을 체불했습니다. 그러나 박 회장은 임금체불 해결을 위해 골프장을 매각해 3000억원을 확보하고도, 변제에 단 1%(30억원)만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선릉 대유타워 매각 대금 670억원도 임금 지급에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반면, 박 회장은 161억원의 퇴직금을 수령했으며, 그의 차녀 박은진
대유에이텍(002880) 부사장은 8억원의 급여를 받은 것으로 밝혀져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김주영 민주당 의원(국회 환노위 간사)이 13일 국회 소통관에서 '대유그룹 박영우 회장 엄벌 촉구' 기자회견 사회를 맡고 있다.(사진=뉴스토마토)
노조 "법원이 사법정의 보여줘야"…강력한 처벌 촉구
김준영 한국노총 금속노련 위원장은 "대유그룹 회장으로서 노동자 수천 명의 고통을 외면한 채 개인의 이익만을 추구한 것은 사회적으로 도저히 용납될 수 없는 충격적인 행태"라고 비판했습니다.
강용석 한국노총 금속노련 위니아전자 노조 위원장도 "우리들이 믿을 곳은 법원뿐"이라며 "수원지법 성남지원이 사법 정의가 살아 있음을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검찰 구형 10년보다 훨씬 더 높은 20년, 30년을 선고해야 한다"며 "그래야만 박 회장이 임금 체불을 해결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체불 임금 해결 위해 정부도 나서야"…구제책 촉구
노동자들은 정부의 대지급금(체불임금 지급제도) 개선도 촉구했습니다.
남승대 금속노련 위니아딤채 노조 위원장은 "대지급금 시행령을 개정해 장기간 체불된 상태에서도 회사를 살리기 위해 버티고 있는 재직자들에게 최소한의 대지급금을 긴급히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현재 위니아 가전3사 재직자들은 도산 이후에도 체불 상태에 놓여 있지만, 현행법상 통상임금이 최저임금의 110% 미만이어야 대지급금을 받을 수 있어 2차 피해를 겪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노동계는 우리나라의 최근 3년간 임금체불 규모가 5조원을 넘고 피해 노동자가 70만명에 달하는 만큼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국회 차원의 대책도 요구했습니다.
이날 참석한 노동자들은 "국회는 서둘러 '임금체불 근절 특별위원회'를 설치하고 운영해 국가 근간을 위협하는 이 악질 범죄를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박영우 회장의 1심 선고는 오는 19일 열릴 예정입니다. 노동자들은 이날 법원의 판결을 지켜보며 향후 대응을 결정할 방침입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박홍배 민주당 의원, 정혜경 진보당 의원, 박래필 금속노조 광주전남 수석부 지부장, 김학구 금속노조 위니아딤채 노조 지회장, 박종하 금속노조 위니아전자 노조 지회장 등도 참석했습니다.
김준영 한국노총 금속노련 위원장이 13일 국회 환노위 기자회견에서 입장문을 발표하고 있다.(사진=뉴스토마토)
신대성 기자 ston9477@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