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민 무소속 의원이 10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차기 대통령 집무실 이전과 관련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김종민 의원실 제공)
[뉴스토마토 박주용 기자] 김종민 무소속 의원은 10일 최근 차기 대통령 집무실 이전 논의와 관련해 "세종 대통령 집무실이 정당 간 합의를 통해 조속히 추진될 수 있도록 뜻을 모아달라"고 밝혔습니다.
김 의원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새로운 대한민국은 세종에서 시작할 것을 제안드린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김 의원은 "새 대통령은 당선 직후 인수위 없이 바로 집무를 시작한다. 용산은 국민이 불신하고, 청와대는 국민 개방으로 갈 데가 없다"며 "대통령 집무실을 어디로 할 것인지, 정당 간 합의로 조속히 준비에 들어가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김 의원은 "정부 장·차관과 공무원이 있는 세종이 대통령 집무실로서 최적지"라며 "서울과 세종의 두 집 살림, 이제 결론을 내야 한다. 비정상적이고 비효율적인 국정 운영을 이제 끝낼 때가 됐다"고 지적했습니다.
세종시 집무 공간 배치도. (사진=김종민 의원실 제공)
특히 김 의원은 세종 대통령 집무실 활용 방안에 대해 관계 공무원, 전문가와 검토한 결과 정당 간 합의만 있다면 현실적으로 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위헌 논란을 불식시킬 수 있는 방안도 제시했습니다.
김 의원은 "세종 집무의 경우, 세종정부청사 중앙동 건물에서 집무를 하고, 서울 집무의 경우, 청와대 영빈관, 여민관, 그리고 대통령 인수위 건물로 사용하던 금융연수원 건물을 활용하면 위헌 논란도 피해 갈 수 있다"며 "준비 기간도 2~3개월이면 충분하고, 집중 공사를 통해 기간 단축도 가능하다. 얼마나 빨리 결정하고 준비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 "현재 세종 대통령 집무실 부지 매입비와 설계비 예산도 올해 예산에 편성돼 있다"며 "세종 국회의사당, 대통령 집무실 신축 공사가 마무리되는 대로 옮기면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아울러 김 의원은 대통령 집무실의 세종시 이전과 관련해 "노무현의 못다 이룬 꿈, 행정수도는 분권 개헌의 방아쇠"라며 "분권 국가로 가야 지방 소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번에 그 물길을 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김 의원은 "새로운 대한민국의 출발은 세종에서 하자"며 "정당 간 합의를 통해 조속한 결정과 추진을 제안드린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박주용 기자 rukaoa@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