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배덕훈 기자] SK텔레콤 해킹 사태 등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국내 주요 기업의 정보보호 투자는 ‘낙제점’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내 주요 기업의 정보보호 투자액은 전체 매출액 대비 0.1%에 불과하고, IT 부문 투자 대비 비중도 6%대로 제자리걸음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정보기술부문 및 정보보호부문 투자액 현황 (그래픽=뉴스토마토)
9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정보보호 공시 종합 포털에 최근 3년 연속 공시한 585개 기업의 투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정보보호 부문 투자액은 2조2401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지난 2022년 1조7741억원 대비 28.4% 증가한 수치입니다.
하지만 이들 기업의 전체 매출 대비 정보보호 투자 비중은 2022년 0.1%(매출액 1734조4379억원), 2023년 0.12%(매출액 1686조9952억원), 2024년 0.13%(매출액 1787조3174억원)로 0.1% 선에 그쳤습니다.
같은 기간 이들 기업의 IT 부문 총 투자액은 2022년 28조7949억원, 2023년 33조463억원, 2024년 36조1091억원으로 늘었는데, IT 투자 규모 중 정보보호 투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6.1%, 6.0%, 6.2%로 제자리걸음을 했습니다. CEO스코어는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주요 기업들이 AI, 로봇, 빅데이터 등 정보기술 투자는 꾸준히 확대하고 있지만, AI 시대 필수 요건인 정보보호 투자에는 소홀한 것으로 평가된다”고 분석했습니다.
특히 1000만명 이상의 대규모 고객을 관리하며 보안의 필요성이 중대한 플랫폼 및 통신사가 오히려 정보보호 투자에 소극적인 편이었습니다.
국내 플랫폼 기업인 네이버, 카카오, 네이버클라우드의 지난해 IT 투자액 대비 정보보호 투자 비중은 각각 4.5%, 3.5%, 5.1%로 일반 기업 평균치인 6.2%에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신 3사 중에는 최근 유심 해킹 사태를 빚은 SK텔레콤의 정보보호 투자가 가장 저조했습니다. SK텔레콤의 정보보호 투자 비중은 4.2%로 LG유플러스(7.4%), KT(6.3%)에 비해 낮았습니다. SK텔레콤은 정보보호 투자액 규모도 KT(1250억원)의 절반인 652억원에 그쳤습니다 SK텔레콤의 자회사인 SK브로드밴드의 정보보호 투자 비중 또한 4.9%에 불과했습니다.
금융권에서는 우리은행이 IT 투자 대비 정보보호 투자 비중이 12.3%에 달해 정보보호 투자액 상위 20개 기업 중 1위를 차지했습니다. 이외에도 삼성SDS(11.8%), 현대오토에버(9.3%), SK하이닉스(8.0%), 포스코(8.0%) 등도 정보보호 투자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습니다.
배덕훈 기자 paladin703@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