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지은 기자]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가 다음 달 국정감사에서
KT(030200) 사태를 집중적으로 다룰 계획입니다. 지난 24일 청문회에서 KT 해킹 사태에 집중했다면 국감에서는 해킹의 근본적 문제가 잘못된 경영에 있다고 보고 주요 경영진의 실책에 집중합니다. 이들이 윤석열정부가 낙점한 인물이라는 점도 과방위가 주목하는 부분입니다. 전 정부의 불법적인 인사 개입으로 통신 비전문가 주축인 KT 경영진이 꾸려지게 됐고, 이들의 경영 실책이 소액결제 피해로 확장됐다는 것이 과방위의 시각입니다.
과방위는 다음 달 21일 정보통신기술(ICT) 관련 기관에 대한 국감을 진행, KT의 대규모 개인정보 침해 사태에 대해 질의를 이어갈 방침입니다. 지난 24일 청문회에서 KT의 관리 부실을 지적하며 경영진의 전문성 결여를 문제로 지적한 만큼 국감에서는 질책 수위가 더 높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9월24일 진행된 과방위 대규모 해킹 관련 청문회. (사진=뉴스토마토)
청문회 당시 김영섭 KT 대표와 서창석 KT 네트워크부문장 부사장, 황태선 KT 정보보안실장 상무(CISO)만 증인으로 불렀지만, 국감 증인은 KT 스태프 조직으로 대폭 확대했습니다. 김영섭 대표와 황태선 상무는 물론 이용복 KT 법무실장, 추의정 KT 감사실장, 허태원 KT 준법지원실장도 증인으로 의결했습니다.
앞서 KT 내부를 잘 아는 관계자는 "내부에서도 축소·은폐 의혹에 대해 걱정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데, 대외는 법무실에서 내부는 감사실을 주축으로 대응 중"이라며 "기술적으로 대응이 힘들다고 판단해 법적 책임을 피하는 방법으로 고민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뉴스토마토>에 전한 바 있습니다. 이번 국감에선 KT 무단 소액결제 사태 축소·은폐 의혹과 관련해 KT 스태프 조직을 향해 집중 추궁할 것으로 관측됩니다. 특히 KT가 경찰서 수사관으로부터 발생 소식을 통보 받은 후 책임 떠넘기기를 한 것도 문제점으로 지목됐습니다. 노종면 민주당 의원은 24일 청문회에서 "KT 광명지사의 간부는 지난 1일 광명경찰서 수사관으로부터 사건 발생 소식을 통보받았지만 책임을 KT 구로지사로 넘겼고, 구로지사는 본사 법무실로 다시 연락하라며 뺑뺑이를 돌렸다"며 "결국 KT 본사는 통보 사흘이 지나서야 원인 파악에 나섰다"고 지적했습니다.
김영섭 KT 대표가 9월2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대규모 해킹 관련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했다. (사진=뉴스토마토)
과방위는 이번 KT 해킹 사태의 근본적 문제가 통신 비전문가 경영진 포진에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에 해킹과 연계해 2023년 노골적으로 진행됐던 KT 최고경영자(CEO) 교체 문제점도 들여다볼 방침입니다. 윤석열정부에서 KT에 대한 불법적인 인사 개입을 자행한 결과 통신 비전문가들이 KT 경영진 주축을 맡게 됐고, 이들의 관리 부실과 경영적 판단 문제로 소액결제 피해가 일파만파 커졌다고 보는 것입니다. 과방위는 구현모 KT 전 대표와 윤경림 KT 전 사장도 증인 명단에 올렸습니다.
KT텔레캅 일감 몰아주기로 KT 전 경영진을 몰아낸 이후 국민연금공단이 KT CEO 선임 과정에서 김영섭 대표의 결격 사유를 침묵하며 방조한 것도 살펴볼 예정입니다. 과방위는 김태현 국민연금 이사장과 서원주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장, 윤정식 KT텔레캅 사외이사도 증인으로 부를 예정입니다.
이지은 기자 jieunee@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