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지우 기자] 중소기업중앙회는 남북 경제협력 관련 중소기업 실태조사 실시 결과 응답 기업의 80%가 개성공단이 재가동될 경우 재입주 의향이 있다고 14일 밝혔습니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22일부터 1일까지 제조 중소기업 500개사를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이 가운데 개성공단 입주 기업 124개사도 포함됐습니다. 조사 결과 개성공단 입주 기업의 87.2%는 개성공단의 경제성에 대해 '긍정적'이라고 평가했으며, 80%가 '개성공단 재가동 시 재입주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재가동 시 필요한 정부 지원책으로는 '기업 피해 보상 기준 마련'(52.7%)이 가장 많이 꼽혔으며, 이어 '정치·군사적 리스크 완화'(25.5%), '통행·통신·통관 제도 개선'(9.1%)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전체 제조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45.5%가 남북 경협이 한국 경제 발전과 기업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했습니다. 또 북한의 투자 환경이 중국이나 베트남 등 신흥국보다 '유리하다'고 답한 기업도 36.0%에 달했습니다.
남북 경협의 주요 장점으로는 '인력 확보 용이성'(25.1%)이 가장 많이 꼽혔고, 이어 '지리적 접근성'(21.0%), '언어·문화 유사성'(18.9%), '원자재·자원 확보 용이성'(15.6%) 순으로 조사됐습니다.
남북 경협 추진 형태로는 '북한 내 접경지역 경제특구 조성'(35.0%)과 '북한 위탁생산'(33.5%)이 주로 언급됐으며, '남한 내 접경지역 경제특구'(21.0%), '제3국 내 남북 생산기지 공동 운영'(6.5%)이 뒤를 이었습니다.
남북 경협 재개를 위해 필요한 정부 지원책으로는 '남북 경협 특별법 등 법률장치 마련'(24.8%)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통행·통신·통관 등 인프라 개선'(22.5%), '재산·신체 손해보상 방안 마련'(19.1%)이 뒤를 이었습니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남북 경협은 중소기업의 제조 기반 회복과 한반도 평화 경제 실현을 위한 중요한 과제"라며 "미국의 고관세 정책과 중국의 저가 공세로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 남북 경협이 중소기업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지우 기자 jw@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