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소득 15%↑·청년 농업인 경영주 2배…경기도 '2028 농촌계획' 내놔

농업소득 1037만→1192만원…전국 식량자급률 10% 목표
청년 농가 경영주 688→1500명…인력 양성·식품산업 육성
10개년 중장기 계획 중간목표격…먹거리 전략은 별도 수립

입력 : 2025-10-17 오후 5:29:52
[뉴스토마토 신태현 기자] 경기도청이 3년 뒤까지 농업소득을 15% 늘리고, 청년 농업인 숫자를 2배가량 늘리는 등 농촌을 살리기 위한 대책을 세웠습니다. 도시와 농촌이 뒤섞인 경기도의 지역별 특성상 농촌 활성화가 중요하다고 판단한 데 따른 겁니다. 
 
16일 경기도청은 '2024~2028 경기도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이하 경기도 농업·농촌 발전계획)'을 공개했습니다. 계획은 크게 5개 전략으로 구성됐습니다. 구체적으로는 △농업소득 1번지 △친환경농업·동물복지 1번지 △농식품창업 1번지 △농촌재생 1번지 △푸드플랜 1번지 등입니다. 
 
2월13일 경기도 이천시 호법면 한 비닐하우스 논에서 열린 '임금님표 이천쌀 전국 첫 모내기' 행사에서 농민이 이앙기로 모를 심고 있다. (사진=뉴시스)
 
농업소득 1번지 전략의 정책 목표는 2022~2023년 평균 1037만3000원에 불과한 연 농업소득을 2028년 1192만9000원으로 15% 늘리는 겁니다. 이를 위해 경기도청은 도내 농촌이 전국 식량자급률의 10% 수준을 담당하도록 목표를 잡았습니다. 쌀 위주의 식량자급 정책에서 벗어나기 위해 밀과 콩 등 다른 기초 식량작물 중심으로 생산을 확대합니다. 밭작물 생산 재배단지 기반조성에 들어가는 예산은 2024년부터 2028년까지 5년 동안 204억원입니다. 또 기후변화 등 농업재해 대응시스템도 강화합니다. 5년간 농업인안전재해보험 가입지원에는 622억원, 가축재해보험 가입 지원에 1318억원이 들어갑니다.
 
아울러 농식품창업 1번지 전략은 청년농업인 농가 경영주를 2023년 688명에서 2028년 1500명으로 늘리는 정책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세부 정책은 농업 인력 양성, 농업의 배후산업인 식품산업 육성, 농업기술 혁신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경기도청은 5년 동안 푸드테크 기업 등 시설개선 지원에 201억원, 농식품 국제시장 진출 지원 114억원, 해외시장개척 17억원 등 예산을 투입합니다. 전문농업인 육성에는 5년 동안 40억원, 최고농업경영자 과정에는 2025년부터 2028년 동안 4년 동안 10억원을 투입합니다. 또 5년간 식량작물 신품종 육성, 농식품융복합 가공기술 개발, 원예 연구 등에도 187억원을 들입니다.
 
농촌재생 1번지 전략의 경우 농어촌체험휴양마을 체험객을 2023년 61만명에서 2028년 370만명으로 확대하는 내용입니다. 농어촌체험휴양마을 육성 지원에 5년 동안 101억원이 투입됩니다. 
 
이외에 친환경농업·동물복지 1번지 전략에는 친환경 재배 면적을 2023년 5072㏊에서 2028년 5579㏊로 10% 늘리는 정책 목표 등이 있습니다.
 
'경기도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 비전 및 중점 추진전략. (그래픽=경기도청)
 
5개년 계획인 경기도 농업·농촌 발전계획의 일부 정책 목표는 지난해 3월 경기도청이 발표한 중장기 계획의 중간 목표에 해당합니다. 경기도청은 2024년~2033년의 중장기 농어촌 발전 프로젝트인 '혁신 농어업 1번지 추진계획(이하 혁신 농어업 계획)'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혁신 농어업 계획의 정책 목표에는 △농업소득 2022년 940만원에서 2033년 1222만원으로 30% 증대 △친환경 재배 면적 2023년 5072ha에서 2033년까지 6086ha로 20% 확대 △청년 농업인 2023년 688명에서 2033년까지 3000명으로 확대 △농어촌체험휴양마을 체험객을 2023년 61만명에서 2033년 740만명으로 확대 등이 있습니다.
 
다만 경기도 농업·농촌 발전계획에는 혁신 농어업 계획과는 별개로 푸드플랜 1번지 전략도 있습니다. 공공분야 지역 먹거리 공급액을 2023년 4000억원에서 2028년 6000억원으로 확대하는 내용입니다. 도시와 농촌이 인접한 경기도의 특성을 최대한 활용해 지역 중심의 로컬푸드의 구축을 강화합니다. 
 
경기도청이 농업에 신경을 쓰는 이유는 경기도가 도농복합지역인 데다 전국 농업인구에서도 무시할 수 없는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입니다. 지난해 논과 밭을 합친 경기도의 경지면적은 14만6382㏊(1463.825㎢)로 경기도 전체 면적(1만185㎢)의 14.37%를 차지합니다.
 
또 전국 농가 경영주 전국 97만3707명 중 10.92%인 10만6373명이 경기도에 있습니다. 국내 농가인구 200만3520명 중 경기도 농가인구는 25만5127명으로 12.73%에 이릅니다.
 
2024년 5월22일 경기도 여주 가남읍 연대리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경기미 모내기 행사에 참여하고 있다. (사진=경기도청)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지난해 농어민 기회소득을 도입하는 등 농업과 농촌 살리기를 진행한 바 있습니다. 김 지사는 경기도 농업·농촌 발전계획이 발표된 지난 16일에도 경기도 포천시에서 '민생경제 현장 투어' 일정을 소화하며 벼베기 행사에 참여했습니다. 김 지사는 "제가 태어나기도 농촌에서 태어났고 농민의 자식이다"라며 "여러 가지 정책과 예산을 통해서 농민에 대해서 신경을 많이 쓰고 있다고 자부한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다산 정약용 선생의 '삼농' 정신이 경기도 농촌에 그대로 적용돼서 살기 좋은 농촌이 됐으면 한다"며 "삼농 정신은 농촌이 현대화돼서 발전하는 '편농', 농민이 소득 많이 올려서 잘 사는 '후농', 농민이 사회에서 대접받는 '상농'"이라고 말했습니다. 
 
신태현 기자 htenglish@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신태현 기자
SNS 계정 : 메일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