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박재연 기자]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인공지능(AI) 안전 기술 현장을 점검하고 산·학·연 전문가들과 함께 '국가 AI 안전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 방향을 논의했습니다.
배 부총리는 23일 AI 안전연구소를 방문해 연구 현황을 살피고, AI 안전 기술 시연을 참관했습니다. AI안전연구소는 지난해 설립돼 AI 안전성 평가·검증, 위험 연구, 정책 대응, 글로벌 협력 등을 수행하고 정부 차원의 AI 안전 확보를 위한 핵심 역할을 맡고 있는데요. 배 부총리는 현장 방문을 통해 딥페이크 탐지 기술과 AI 에이전트 안전성 평가 시연을 직접 확인한 뒤 산·학·연 전문가 15명과 함께 간담회를 열어 향후 AI 안전 정책 추진 방향을 모색했습니다.
간담회에서는 △딥페이크 방지 기술 개발과 대응 방향 △AI 에이전트의 신뢰성과 안전성 확보 방안 △글로벌 AI 위험 대응 체계 및 국내 정책 추진 방향 등이 주요 의제로 올랐습니다. 간담회 참석자들은 AI 안전 생태계를 조성해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AI 개발·활용하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입을 모았는데요.
배 부총리는 "국민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AI는 AI 공존 사회의 첫걸음"이라며 "AI 안전이 산업과 일상 전반에 스며들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유관기관이 협력해 올해 안에 '국가 AI 안전 생태계 조성 종합계획'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3일 오후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인공지능안전연구소를 방문해 '딥페이크 탐지, AI에이전트 안전성 평가 시연'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과기정통부)
박재연 기자 damgomi@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