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4월1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의 유엔본부에서 열린 안전보장이사회에서 회원국 대표들이 팔레스타인의 회원국 가입 표결 투표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뉴스토마토 박주용 기자] 미국 국무부가 3일(현지시간) 북한산 석탄과 철광석을 중국으로 수출하는 데 관여한 선박 7척에 대해 유엔 제재를 추진하고 나섰습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 정부에서 북한과 관련해 유엔 제제를 추진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국무부 관계자는 이날 언론 브리핑을 통해 "지난 5∼6월 북한 인근 해역에서 북한 선박(톈퉁, 신평 6)들이 유엔 안보리 결의에 따라 수출이 금지된 북한산 석탄을 운반해 시에라리온 국적 선박에 해상 환적을 통해 넘겼다"며 "그 석탄은 중국 웨이팡 지역으로 운송·하역됐다"고 밝혔습니다.
 
올해 1월 북한산 석탄과 철광석이 제3국 선박을 이용해 중국에 하역된 일도 소개됐습니다. 이에 국무부 관계자는 "유엔 1718위원회가 안보리 대북 제재를 위반한 북한의 석탄·철광석 수출에 관여한 선박 7척을 즉시 제재 대상으로 지정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1718위원회는 회람 후 5일 동안 회원국의 이의 제기가 없을 경우 제재안을 자동적으로 확정하게 됩니다. 그러나 상임이사국인 중국과 러시아가 반대하거나 보류를 요청할 경우 결의는 무산될 수 있습니다. 중·러 양국은 최근 북한의 대외무역 정상화를 주장하며 제재 완화를 요구해온 만큼, 이번 조치에 동의할 가능성은 낮습니다.
 
공교롭게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만남이 무산된 직후 대북 제재 움직임이 나온 점도 주목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말 한국 등 아시아 순방을 계기로 김 위원장과 만나고 싶다는 의사를 여러 차례 피력했으나 최종적으로 만남은 불발됐습니다.
 
박주용 기자 rukaoa@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