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상호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이 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의 대통령비서실 등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뉴스토마토 한동인 기자]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이 11일 대장동 개발 비리 사건에 대한 검찰의 항소 포기 논란에 대해 "대통령실이 개입하거나 기획한 일은 전혀 없다"고 일축했습니다. 또 "이미 대통령이 됐는데, (사법 리스크에서) 뭘 구하느냐"고 반박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을 사법 리스크에서 구하기 위해 대통령실이 이번 사태를 기획했다는 일각의 주장에 해명한 겁니다.
우 수석은 이날 <SBS> 유튜브 채널 '정치컨설팅 스토브리그'에 출연해 "대통령 재판은 다 중단됐다"면서 "판이 커질수록 정권에 부담이 된다는 걸 제가 왜 모르겠나. 이 정쟁의 한가운데 들어가면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대통령 개입설에 대해서도 '실익'이 없다는 판단을 내렸습니다. 우 수석은 "정무적으로 복잡한 일에 굳이 끼어 사달을 만들 이유가 없다"며 "배임죄 형벌 조정 같은 제도 개선은 국회에서 논의하고 있지 않나. 저희로선 특별히 이 재판에 개입해 대통령이 얻을 실익이 없다"고 짚었습니다.
그는 남욱 변호사와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의 이름을 직접 거론하며 "이 대통령이 2022년 대선에서 낙선되도록 기여한 사람이다. (대통령실은) 그 사람들이 아주 패가망신 하길 바라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제일 열 받는 것이 항소 포기로 그 사람들에게서 7000억원대 부당이득을 환수 못 했다고 하는데 우리가 남욱·유동규 재산을 보존해주려고 하겠냐. 우리 원수들인데"라며 "말도 안 되는 소리"라고 했습니다.
특히 우 수석은 이번 사건에 대해서는 '검찰 구형의 실패'라고 규정하며 "그동안 검사가 시킨 대로 발언을 조작해준 대가로 구형을 싸게 해준 건 아닌지 저 같은 사람은 의심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검찰의 구형보다 형량이 더 세게 나왔다는 겁니다.
그는 "검찰이 구형한 것보다 형량이 세게 나왔고 유죄를 입증하려다 무죄가 나오면 먼저 반성부터 해야 한다"며 "실력이 없어서 무죄를 받았는데 유죄를 만들 기회를 안 주냐고 항의하면, 항의하는 것은 좋지만 먼저 반성해야 한다"고 꼬집었습니다.
한동인 기자 bbhan@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