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초점)치밀·지능화되는 보이스피싱 사기

입력 : 2012-05-22 오후 7:53:59
[뉴스토마토 김혜실 기자] 앵커 : 보이스피싱 사기, 이제 모두가 아는 범죄임에도 피해자는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수법은 날이 갈수록 치밀해지는데 막을 방법은 없다는 것이 문젭니다. 김혜실 기자와 정리해보겠습니다.
 
김 기자, 예전에는 '자녀가 납치됐다. 위험하니 돈을 빨리 부쳐라' 이런 방식의 보이스피싱이 주를 이뤘는데요. 이제 많이 알려져서 더 이상 안통할 것 같구요. 최근의 보이스피싱은 어떻습니까.
 
기자 : 먼저 거래은행을 사칭해 걸려오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대중들이 보이스피싱에 대한 우려가 있다는 점을 역이용한 사기입니다. 은행을 사칭한 범죄자들은 보안승급을 해준다며 개인정보를 요구하는데요. 피해자들은 보안 강화 필요성을 느끼고 있던 터라 동의 후 쉽게 지시에 따르게 되는 겁니다. 주민등록번호와 계좌번호, 통장비밀번호 등을 묻는데요. 비밀번호도 4자리 모두가 아닌 뒷 두자리만 물어보는 방식으로 진행해 피해자들은 의심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자리만 알아내도 앞 두자리는 01번부터 99번까지기 때문에 경우의 수가 크게 줄어들겠죠. 또 다른 경우는 전화나 문자로 사이트 주소를 알려주고 진짜처럼 만들어놓은 임시 은행 사이트에 비밀번호와 보안카드 번호를 입력하게 하기도 합니다.
 
앵커 : 처음부터 개인정보를 묻거나 금전을 요구하는 방식이 아니라 다른 쪽으로 유도를 한 후 정보를 빼내기 때문에 의심하기 어려울 것 같은데요. 하나의 사례만 더 들어볼까요.
 
기자 : 저 역시 관련 전화를 받았는데요. 대검찰청으로부터 걸려온 전화였습니다. 대검찰청 수사관이라고 밝힌 남자는 적발된 금융사기조직이 제 명의의 현금카드와 통장을 사용했으니 조사가 필요하다며 검찰청으로 한시간 안으로 출두하라고 요청했습니다. 녹취 음성을 한번 들어보시죠.
 
처음부터 개인정보를 물어보는 것이 아니라 다른쪽으로 유도를 하기 때문에 보이스피싱이라는 생각은 초반에 하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출두시간을 촉박하게 주더니 시간 내로 도착하기 어렵다고 하자 전화로 진술하라며 개인정보를 확인하기 시작하는 겁니다. 이어서 들어보시죠.
 
진술 전 녹음에 대한 동의를 받고는 '삐' 소리가 난 뒤에는 개인정보를 묻기 시작합니다. 의심을 품고 상대의 직책과 이름을 물어보지만 망설임없이 답하는 등 사전 준비도 철저해 당하기 쉽상이었습니다.
 
앵커 : 김기자는 평소에도 보이스피싱에 대해 많이 알고 있었음에도 개인정보를 물어볼때가 되서야 눈치를 챘는데, 일반인들은 피해 사례가 많겠군요. 개인정보를 빼내면 어떤식으로 이용하는 겁니까.
 
기자 : 주민번호와 연락처 등의 개인정보와 계좌번호, 보안카드 번호 등의 금융정보를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요. 이를 통해 공인인증서를 재발급 받아 예금을 인출하거나 저축은행과 대부업체에게 대출을 받는 방식이 대부분입니다.
 
앵커 : 이렇게 되면 피해가 클텐데. 금융위원회에서는 어떤 대책 나오고 있습니까.
 
기자 : 피해방지를 위한 안내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금융위원회의 안내문을 보면 보이스피싱 신고 전화는 금융감독원 1332번이라고 나와있습니다. 안내문을 차분히 살펴보니 피해 예방차원에서 쓰던 공인인증서를 폐기하고 휴대용 장치에 새로 발급 받거나 보안카드 재발급 또는 보안이 강화된 카드로 교체하라고 권유합니다.
 
앵커 : 이렇다할만한 대책이 없고 일단은 예방이 중요한거군요. 피해 후에는 신고센터에 전화를 해야 하구요.
 
기자 : 네 그렇습니다. 피해자가 줄어들지 않고 있지만 대책이 없다는 것이 문젭니다. 다른 피해자 양산을 막아야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 제가 금융감독원 피해센터에 전화해봤습니다. 하지만 특별한 피해가 없으면 앞으로 조심하라는 성의없는 답변이 전부였습니다. 들어보시죠.
 
앵커 : 적발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말만으로 손을 놓고 있기에는 문제가 큰 것 같은데요.
 
기자 : 상담 기록을 위한 피해자 정보만 확인한 후 전화를 끊어 너무 형식적인 대응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은행 역시 은행 이름을 도용당한 것일 뿐 은행의 잘못은 아니라는 입장을 내세워 책임 회피에만 급급한데요. 고객을 최우선으로 생각한다는 은행들이 보호와 책임은 외면하고 있는 점이 안타깝습니다.
 
앵커 : 어떠한 보호장치도 없는 현 시점에서는 우리 모두가 주의하는 수밖에 없는 것 같군요. 잘들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김혜실 기자
김혜실기자의 다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