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혜실기자] 농협중앙회가 금융사업과 경제사업을 분리하고 금융지주회사로 출범한지 100일이 지났다. 농협은 신경분리를 통해 거대한 조직의 틀이 바뀌었지만 조직 내부의 변화는 없었던 듯 하다.
큰 변화가 있는 곳에는 말이 많을 수밖에 없다. 농민조합에서 금융지주로 거듭나는 과정에서의 잡음은 어쩌면 당연할 수도 있다.
다만 방향이 문제다. 시장이 기대하던 방향이 아니라는 얘기다. 금융지주로 향하는 움직임인지 정부산하로 가겠다는 건지도 의문이다.
의문의 출발은 우선 농협과 농림식품부와의 경영 개선 이행약정서 체결이었다. 지난 3월 신경분리 과정에서 부족자금을 정부로부터 지원받기로 하면서 사업구조개편 이행약정서(MOU)를 체결키로 한 것.
이를 두고 농협 노조는 농협이 부실기관이 아닌데도 정부가 MOU 체결을 강요했다며 노조파업을 결의했다.
파업에 대한 논의가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신충식 농협금융지주 회장의 돌연사임도 논란 가중에 한몫 했다.
신 행장은 지주회장과 은행장을 겸임해왔지만 지주체계가 어느 정도 자리잡았다는 이유로 사임의 뜻을 밝혔다. 이제는 농협은행장으로서 농협은행 경쟁력 강화에 전념하겠다는 설명이었다.
하지만 갑작스런 신 행장의 회장직 사임을 두고 외부 압력이 있었을 것이라는 추측이 업계에 난무했다.
의혹이 증폭되는 가운데 새로운 회장 선임이 '대못'을 박았다.
신 행장이 사임을 하자마자 회장후보추천위원회는 마치 기다렸다는 듯이 발빠르고, 조직적으로 움직였다.
그러나 회의는 언제 어디에서 이뤄졌는지 도무지 알 수가 없었다. 말 그대로 '밀실회의'였다.
후보자 면접 조차 없었다는 점은 더욱 이해하기 어려운 대목이다. 금융지주 회장직 선임을 두고 친정부 인사 배치라는 비난이 끊이지 않았지만, 적어도 회장을 뽑을 때는 후보자들에게 경영 구상을 듣고 최종 판단을 내리는게 일반적인 과정이다.
또 당초 유력한 후보자로 거론되던 이철휘 전 한국자산관리공사 사장과, 권태신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부위원장이 아닌 제 3의 인물이 갑작스레 회장에 선임되면서 의혹은 더욱 깊어졌다.
신 회장은 재무부에 재직할 당시 별명이 '청와대 돌쇠'였을 정도로 친정부 인사로 유명한 인물이라 향후 농협 조직에 대한 우려가 커질 수밖에 없다.
한 두가지 의혹만으로 농협금융지주라는 거대한 조직을 폄하할 수는 없다. 하지만 지주 출범 100일을 전후로 잇따르는 각종 사건들에 대해 누군가의 명확한 설명이 필요한 것 분명해 보인다.
금융지주로 탈바꿈 하기 전 '농협이니까..'라는 조소섞인 평가로 어물쩍 넘어가던 시절은 지나갔다.
언제까지 '좀 부족해도 농협이니까..'란 관대한 평가를 기대할 것인가. 금융지주로 거듭난 만큼 그에 걸맞는 모습을 보여주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