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세연기자] 국내 기업공개(IPO)시장이 당국의 강화된 옥석 가리기에 더욱 좁아지고 있다.
예년의 경우 상장에 나섰다가 기업 스스로가 시장 상황과 역량 부족을 들어 중간에서 진입을 포기하거나 연기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올들어서는 예비심사 통과 자체가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17일 한국거래소와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올해 상장을 청구한 48개 기업중 상장예비심사를 통과하지 못한 기업은 14.5%인 7개로 집계됐다.
예비심사나, 공모, 상장직전 기업 스스로 상장을 포기한 4곳을 포함하면 총 11개 기업이 상장의 꿈을 자의나 타의에 의해 접었다.
주목할만한 것은 당국의 제도상 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실패한 경우가 늘었다는 점이다.
지난해 상장에 실패한 26개 기업중 예비심사 결과를 통해 미승인을 받은 기업은 14곳, 공모나 상장과정중 기업이 철회했거나, 예비승인 효력기간을 놓쳐 기업공개에 나서지 못한 곳은 12곳이었다. 미승인 기업과 철회기업 비율은 1.16대 1이었다.
반면, 올해는 미승인 기업과 철회기업 비율이 1.75대 1에 달한다.
덴티움, 프렉코, 선재하이테크, 녹십자엠에스, 오리온테크놀로지, 아진에스텍, 더블에셋리츠 등은 심사청구 이후 최장 1년이상의 기다림 끝에 낙방 통지서를 받아들었다.
금융투자업계는 이같은 현상의 원인으로, 불안한 시장환경속에 상장을 감독하는 관리당국이 정량적 평가외에 보다 안정적이고 투명한 기업가치에 대한 근거를 요구했기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거래소는 이들 기업이 자기자본이나 최근 3개년간 매출실적 등 이외에도 ▲사업성 검증 미흡 ▲수익성 검증 미흡 ▲관계회사 관련 위험 ▲재무안정성 미흡 ▲경영투명성 및 내부통제 미흡 등을 지적하며 미승인 결정을 내렸다.
시장을 관리하는 감독당국의 입장에서 시장을 좀 더 안정시키고 지속가능 경영을 이끌 수 있느냐를 강조한 셈이다.
이들 탈락기업의 상장을 주관한 증권사들도 당국의 엄격한 심사에 대해서는 일단 긍정적이다.
한 증권사 IPO 담당자는 "상장을 심사하는 과정에서 자칫 시장에 악영향을 끼칠만한 기업은 사전에 배제하는 것이 옳다"면서 "위축된 IPO 시장을 회복시키고 투자자의 관심을 이끌어 증시내 자금유동화를 높이기 위해서는 예비심사 승인후 기업 스스로가 기업가치를 제고시켜 상장에 이르도록 유도하는 방안 마련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한편, 올해 상장에 실패한 한 기업 관계자는 "실패한 이유에 대해 일부 수긍하고 있다"면서도 "투자시장의 성격상 일부 성장과 매출지속성에 대한 상장전 정량적 평가보다는 공모 등 시장을 통해 평가받는 것이 보다 높은 적정성을 유도하는 방법일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