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강진규기자] 베이비부머(1955~1963년 출생자)의 은퇴가 현실화된 가운데 이들의 은퇴로 변화될 시니어 트랜드와 이를 반영한 5가지 새로운 비즈니스가 제시됐다.
육체적 케어를 넘어 심리적 안정까지 지원하는 '프로액티브 케어 비즈니스', IT기술을 활용한 '원거리 효(孝) 비즈니스', 단순한 휴식이 아닌 '목적지향 휴(休) 비즈니스', 실버세대의 기술과 지식을 나누는 '나눔 지원 비즈니스', IT기술에 감성을 접목한 '스마트 실버 비즈니스' 등이 베이비부머 은퇴와 함께 각광받을 비즈니스로 제시됐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원장 최금숙)은 8일 오후 2시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삼성경제연구소(소장 정기영)와 공동으로 '미리 가보는 2030년 여성·가족의 미래' 학술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에서 '2030 메가트렌드 전망과 대응'을 주제발표한 이성호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사진)은 먼저 고령화에 따른 생산력 감축을 일본의 사례와 비교 분석했다.
◇이성호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이 8일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개최된 '미리 가보는 2030년 여성·가족의 미래' 학술세미나에서 '2030 메가트렌드 전망과 대응' 주제 발표를 하고 있다.
이 연구원은 급격한 고령화로 노동시장에서는 노동력 부족(Shortage), 생산성 저하(Shrinkage), 세대간 일자리 경합(Struggle)의 '3S'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따라서 향후 10년간 일자리 나누기와 임금피크제 활용, 평생학습 등 직업교육 확대로 세대간 일자리 경합을 해결하는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베이비부머들이 건강측면에서 '신체 활력과 자존감을 유지'하고 있고, 가족측면에서 '직접 봉양' 대신 '원거리 효도'로 대체하고, '문화 소외층'에서 '문화 주류층'으로 변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 '사회 수혜층'에서 '사회 기여층'으로 사회참여 방식이 바뀌고, '디지털 둔감층'에서 '스마트 실버'로 디지털 생활도 바뀔 것으로 전망했다.
베이비부머들이 주도하는 5대 실버 트렌드를 반영해 향후 각광받을 5대 비즈니스도 소개했다.
첫번째는 육체적 케어를 넘어 심리적 안정까지 지원하는 '프로액티브 케어 비즈니스'다. 이 연구원은 대표적으로 미국 바이브런트브레인즈(vibrantBrains)사의 50대 이상을 타깃으로 한 두뇌헬스클럽(정신적 항노화 프로그램)을 소개했다.
두번째로는 IT기술을 활용해 원거리에서도 부모 봉양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원거리 효(孝) 비즈니스'를 꼽았다. 일본 도쿄 가스가 독거노인들의 가스사용량과 사용시간 등을 IT로 체크해 그들의 자녀에게 제공하는 사례를 소개했다.
또 단순한 휴식이 아닌 여행과 교육을 결합하고, 올림픽처럼 운영하는 스포츠클럽 등 '목적지향 휴(休) 비즈니스'와 실버세대의 숙련된 기술과 지식을 지역사회와 나눌 수 있도록 지원하는 '나눔 지원 비즈니스', IT기술에 감성을 접목하거나 온라인 쇼핑몰을 맞춤형으로 특화하는 등의 '스마트 실버 비즈니스'도 베이비부머 은퇴와 함께 각광받을 비즈니스로 꼽혔다.
이 연구원은 2030년 메가트렌드를 전망하면서 1인가구 증가와 여성 노인문제도 가족 정책의 주요 화두로 꼽았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한국은 1인 가구 증가속도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수준이다. 지난 1990년 102만 가구였던 1인 가구가 2011년 436만명으로 4.3배로 확대됐다. 특히 노인 1인 가구는 2000년 54만가구에서 2010년 102만 가구로 2배 가량 늘었다.
이 연구원은 전체 가구에서 노인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도 2010년 6%에서 오는 2020년 8%, 2030년에는 11.8%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특히 "여성노인은 배우자와 사별 후 소득이 급감해 빈곤층으로 전락할 소지가 높고, 무자녀 가구도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노인 빈곤율을 낮추기 위해 노인 1인 가구를 노인 빈곤정책의 핵심집단으로 설정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또 현재 고소득층과 특정상품 위주로 돼 있는 종합적인 자산관리서비스 접근의 어려움을 해소하도록 자산관리서비스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지난해 기준 월평균 23만원인 유족연금 수급비율 조정과 이혼노인을 위한 분할연금제도 확대의 정책과제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