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박진아기자] 신제윤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16일 "세계경제 회복을 위한 경제정책이 2가지 시험대에 놓여 있다"고 진단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정책의 효율성을 높여 나가야 한다고 역설했다.
![](http://image.newstomato.com/newsimg/2013/1/16/324890/1.jpg)
신제윤 차관은 이날 오전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한국금융연구원-Bruegel 공동컨퍼런스'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미국 재정 건전화, 유로존 등 세계경제는 여전히 한 치 앞을 몰라 어디에 다음 발을 내디뎌야 할지 불확실하다"며 이 같이 밝혔다.
신 차관은 "두가지 시험대 중 첫번째는 재정건전성 강화와 경제회복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아야 하는 재정정책"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서로 상충되는 것처럼 보이는 목표들인 만큼 이를 조화시키기란 쉽지 않을 수 있다"며 "미국의 재정절벽 협의와 세대간·계층간 갈등 표출 등이 첫번째 시험대가 얼마나 힘든지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두번째 시험대로는 통화정책의 목표 변화 가능성을 언급했다.
신 차관은 "미국·유럽연합(EU)·일본 중앙은행들은 경제성장을 위해 통화팽창을 경쟁적으로 펼치고 있다"며 "경기회복을 위해 확장적 통화정책의 필요성이 인정되면서도 인플레이션과 스필오버(Spillover) 효과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신 차관은 이에 따른 향후 정책과제도 제시했다. 그는 "우선 재정건전성을 고려하는 가운데 적극적 재정의 역할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확장적 재정정책이 부채 증가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정부의 효율과 재정지출의 효과성을 높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특히 "질의 일자리 창출과 인적자본에 대한 투자에 보다 관심을 갖고, 사회간접자본 투자의 효율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신 차관은 통화정책 측면에서는 주요 선진국 통화완화정책의 파급효과를 최소화하도록 주요국들에게 정교한 정책 선별을 주문했다.
또 자본유출입의 변동성 확대가 신흥국들에게 중대한 위험요인이므로 이를 완화시키기 위해 전통적 정책수단과 함께 거시건전성조치를 시행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신 차관은 특히 "거시건전성 조치를 자본통제와 동일한 기준으로 규제하고 있는 현재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자본자유화규약도 개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