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지펀드, 진입 문턱 너무 높아

입력 : 2013-03-01 오전 10:00:00
[뉴스토마토 홍은성기자] 한국형 헤지펀드 도입 14개월간 국내 헤지펀드의 운용수익률이 지난해 하반기 이후부터 개선되는 추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가운데 헤지펀드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진입 요건을 낮추는 등 지속적인 제도개선 노력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2011년 12월 1490억원 규모로 출범한 헤지펀드는 불과 도입 1년 만에 1조원 수준으로 성장했다.
 
자료 : 금감원
 
단기간에 큰 성장을 했지만 유럽과 아시아의 과거 성장사례에 비춰보면 아직까지는 본격적인 성장궤도에 이르렀다고 볼 수 없는 수준이란 평가다.
 
김종민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성과가 뛰어난 일부 헤지펀드를 중심으로 점차 평판이 구축되고 있고 투자전략을 발굴하고 전문 운용인력을 확보하기 위한 업계의 노력도 지속되고 있다”며 “때문에 지금까지의 성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고 해서 향후 국내 헤지펀드 시장을 무작정 비관적으로 볼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그에 따르면 국내 헤지펀드 출범 이후 지난 1월말끼자 약 14개월 동안의 추정 수익률을 산출한 결과, 전체 누적수익률은 3.55%로 같은 기간 코스피 수익률인 6.63%대비 부진했다.
 
김 연구위원은 “주목해야 할 점은 국내 헤지펀드 수익률의 변동성이 코스피에 비해서는 훨씬 낮고 지난해 하반기 이후 수익률은 개선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라며 "또 적어도 수익률 상위 펀드들을 중심으로 평판이 구축되고 있으며, 그 결과 투자자금이 이들 펀드에 보다 집중되고 있다는 것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는 국내 헤지펀드 시장이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점차 수익률 기준으로 재편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는 것. 만약 이러한 추세가 올해에도 지속된다면 아직 헤지펀드에 대한 투자를 주저하고 있는 기관 투자자들의 투자가 본격화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진단이다.
 
다만 국내 헤지펀드 시장의 안착을 위해서는 헤지펀드 업계의 자체적인 수익률 제고 노력 이외에도 지속적인 제도 개선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는 판단이다.
 
김종민 연구위원은 “헤지펀드 시장에 다양한 투자전략을 구사하는 헤지펀드가 등장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는 것이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제도 개선과제”라며 “또 국내 헤지펀드 시장의 진입요건 중 자본요건을 보다 전향적으로 낮추고 인가과정을 보다 간소화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도 있다”고 말했다.
 
아직 헤지펀드의 수요기반이 취약한 국내의 사정을 고려하면 평판이 매우 중요한 헤지펀드 시장에서 진입요건을 대폭 낮추더라도 헤지펀드가 난립할 가능성은 매우 낮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어 “보다 큰 틀에서 보면 운용의 자율성 및 창의성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헤지펀드에 대한 규제체계를 일반 사모펀드나 PEF와 같은 사모펀드 전반의 규제체계를 정비하는 차원에서 면밀하게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홍은성 기자
홍은성기자의 다른 뉴스